한국어=핀란드(456)
-
새로운=우시
새로운 =uusi[우시] dict.naver.com/fikodict/#/entry/fiko/b5ef6e6236e94c11a733e5889caf3144 새로운, 한자어는 그대로 신(新)이 됩니다. ㅻ 이니 ㄴ 의 new 가 되고, ㅄㄴ 초성이 다 생략되면 uusi[우시]가 됩니다. dict.naver.com/mnkodict/#/entry/mnko/c52fae4260d845ca8941f9b179441444 몽골어는 шинэ[신]인데 몽골인들이 한자어에서 온 단어라고 생각할까요? ‘싫’에서 ‘신’이란 몽골어와 한자어 음가가 나오고, 한국어는 늘어져 ‘새로운’ 이 된 것입니다. 보통 ‘새 신(新)’ 이라고도 하는데, 우리말 ‘새’를 한자어에서 온 단어라고 생각하지 않는 이치와 같은 것입니다.
2021.02.12 -
날다=lentää[렌타]
날다=lentää[렌타] dict.naver.com/fikodict/#/entry/fiko/2304944076914f059bbd97592430a51c 우리말 ㄴ이 그대로 ㄹ 로 나타납니다. ‘노래’의 피란드어는 laulu[로루]인데, 누가 보아도 한국어 그대로입니다. ㄴ이 ㄹ로 나타나는데, ‘놀다’도 leikkiä[레이키아]로 나타납니다. 한자어가 비(飛)이니, ㅄㄴ에서 출발합니다. 영어는 ㅂ의 f 가 되어 fly 가 됩니다. -고조선문자3, 경진출판사, 허대동, 236쪽 - 한국어 ㄴ의 주요 단어들이 그대로 핀란드어 ㄹ 로 나타나는 것은 우연히 아닌 것입니다. dict.naver.com/mnkodict/#/entry/mnko/49d8b81e52504c03bddb3a1666e99889 C형의 몽골어를 보..
2021.02.12 -
큰, 단단한 =kova[코바], massiivinen[마시비넨]
큰, 단단한 =kova[코바], massiivinen[마시비넨] dict.naver.com/fikodict/#/entry/fiko/e6b67d68c25a4b3fafd3f9b30e804d82 ‘단단한’ 과 ‘큰’이 분리 되기전의 단어에서 나온 것이니, ㄱ 은 ‘큰’, ㄷ 은 ‘단단한’이 됩니다. 한자어는 거대(巨大)이고, 영어는 ㄱ에서 great, grand, giant 이고, ㅁ에서 우리말은 ‘말-’, 영어는 big 이 됩니다. ㅁ의 영어는 massive, monster, monstrous, mammoth 이고, 핀란드어는 massiivinen[마시비넨] 인 것입니다. ㅅ은 영어에서 stupendous, 핀란드어는 suunnaton[수나톤]이 됩니다. 우리가 ‘괴물’로만 알았던 ‘몬스터’에 형용사 ‘거대..
2021.02.12 -
깊은 =syvä[시바]
깊은 =syvä[시바] dict.naver.com/fikodict/#/entry/fiko/14c16ae9c8c64257bccd5bf271763d89 ‘깊은’의 ㄱ 앞에 ㅅ 이 있었단 것이고, 한자어는 ‘깊을 심(深)’이 되고, 핀란드어는 ‘syvä[시바]’가 되고, 영어는 ㄱ 에 상대해서 ㄷ 의 deep 이 됩니다.
2021.02.12 -
많은=moni[모니], suuri[수리], mahatava[마하타바]
많은=moni[모니], suuri[수리], mahatava[마하타바] dict.naver.com/fikodict/#/entry/fiko/80fec3d13b8f449eba8f9117ab428cc7 ‘많고 많다’ 의 우리 현 표준어에 ‘하고 많다’가 있습니다. ko.dict.naver.com/#/entry/koko/d4e9b0fb36294d39884fdffbbe34443d ‘하고 하다’란 현 표준어에서 나온 것이고, ‘하다’라는 우리 옛말이 중첩되어 ‘하고 하다’란 표준어로 남아 있습니다. -'하고 하다가 옛말이 아니라 표준어라는 것을 사전에서 찾아봐야 아는 사실입니다. - 영어는 ㅁ 의 many, much 로 우리말과 거의 동일하고 핀란드어 moni[모니]와 mahatava[마하타바]도 마찬가지입니다. ㅎ..
2021.02.10 -
높은=korkea[코르케아]
높은=korkea[코르케아] dict.naver.com/fikodict/#/entry/fiko/dae263cbd24e43e88f313285e6a440c9 쉽게 말하자면, 한자어 ‘고(高)’입니다. 우리말 ‘하다’에서 ‘높다’와 한자어 ‘고(高)’가 나오고 ‘곯’에서 ‘코르헤아’-->‘코르케아 korkea’에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요하문명 시대 ‘하늘이 높다’라는 표현은 ‘하ᄒᆡᆶ ᄒᆡᆶᄒᆞ하/ㄱᄂᆞᆶᄒᆞ하’ -편의상 ㄴㄱ 으로 표기했는데 원래는 ㆁ라고 추정합니다. -정도 인데, 한국어는 ‘ᄒᆡᆶᄒᆞ다’-->‘ᄂᆞᇂᄒᆞ다’-->‘ᄂᆞᇂ다’-->‘높다’ 가 되고 영어는 ‘ᄒᆡᆶ’거의 그대로 high, ㄹ 되어 lofty, 한자어는 ㅎ에서 ‘높을 항(亢)’, ㄱ 되어 ‘높을 고(高)’, ㅌ 되어 ‘높을 탁(..
2021.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