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첫말 (1210)
-
Swadesh lists were originally devised by the linguist Morris Swadesh.
Appendix:Swadesh lists - Wiktionary Swadesh lists were originally devised by the linguist Morris Swadesh.
2023.04.10 -
쉽게 읽는 석보상절 19, 경진출판, 나찬연님
쉽게 읽는 석보상절 19, 경진출판, 나찬연님 114쪽 ‘그때’를 ‘그ᄢᅴ’라고 표기하고 있습니다. 물론 훈민정음에는 ‘ᄣᅢ’라고 표시하고 있습니다. ㅴ 과 ㅵ이 동시에 사용 가능했다는 명확한 증거이고, ‘같다’의 옛말이 ‘닿다’임을 통해서도 잘 알 수 있습니다.
2023.01.15 -
이제 태고 언어를 추정합니다.
이제 태고 언어를 추정합니다. 먼저 우리 역사서에 배달환웅 시기에 순임금이 중원을 다스린 바가 있으니 그 때까지 –즉 6~5천년 전까지-중원에서는 고대 한국어/고대 티벳어를 사용하고 있었고 대륙과 한반도는 태고 한국어로 의사소통 가능했다고 추정합니다. 다음 일국과는 고조선 시절까지 –즉 지금부터 3~2천년전 까지-같은 고대 한국어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하자면 배달국 시기까지 인도네시아, 베트남, 인도, 아랍 모든 나라들이 한국어의 전신인 태고 한국티벳어를 사용했다라고 추정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환국배달대동 언어학입니다.
2023.01.13 -
물을 끓이다, 물 끓임의 티벳어 고찰
‘보글보글 끓이다’ 의 티벳어가 확인하는 우리말과의 동질성 (tistory.com) 이어서 ..... ཆུ་ སྐོལ[chuf köf/추 f 쾨 f] 물을 끓이다 ‘물’을 ‘추’라 하는 것은 ‘수(水)’의 ㅅ/ㅼ의 ㅊ입니다. 두 번째 마디 문자상 표기는 [skol/ᄸᅩᆯ]인데 ㅺ이 ㅅㅋ 된 형태입니다. 즉 우리말 ‘끓이다’의 ㄲ이 된 ㅺ과 같은 것입니다. 어순은 ‘목적어 + 동사’ 구조로 같습니다. 다음 명사입니다. ཆུ་ ཁོལ[chu f khöf/추 f 쾨 f ] 끓는 물, 끓인 물 ཆུ་ ཁོལ་མ [chu f khöf ma f/추 f 쾨 f 마 f] 끓는 물, 끓인 물 두 단어 중 위의 문자상 발음 표기는 [추 콜]입니다. 우리말로 하자면 ‘물 끓임’인데 종성 ㄹㆁ 중 ㄹ 만 남은 형태이고, 아래..
2022.11.06 -
‘번드치다’의 옛말 ‘번ᄃᆡ티다’의 의미를 사전에서 살펴보겠습니다.
‘번드치다’의 옛말 ‘번ᄃᆡ티다’의 의미를 사전에서 살펴보겠습니다. '번드치다':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번드치다’는 표준어입니다. ㅂ 탈락 후 ‘뒤집다’가 되는 것이니 한자어 ‘뒤집을 반(反)’이 나오고, 한자어는 ‘반대(反對)하다’가 되는 것입니다. ‘바꾸다’의 의미일 경우 ‘변화(變化)’가 됩니다.
2022.10.30 -
가다 다시 고찰
'걷다'와 '가다'에 대해서는 많이 살펴 보았습니다. '걷다'와 '가다'에 대해서는 많이 살펴 보았습니다. ㅲ 이니 ‘발’ ‘걷다/가다’입니다. 'gehen': 네이버 독일어사전 (naver.com) ‘걷다’ ‘가다’의 독어 단어는 gehen[게언]입니다. 'begehen': 네이버 독일어사전 (naver.com) 앞에 ㅂ 있다 했으니 begehen[베게언]입니다. 'Gang': 네이버 독일어사전 (naver.com) ‘걸음’ '감' 과 '길'은 Gang[강]입니다. 특히 Gang 은 명사로만 규정되어 있으니 우리말과 완전히 같다고 해야 합니다. 'nach Hause gehen'의 검색결과 : 네이버 독일어사전 (naver.com) nach Hause gehen [나흐 하우제 게언] 집에 가다 전치사가 ..
2022.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