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국어·훈민정음 단어 변음 법칙 (132)
-
범벅 함
범벅 함 http://hanja.naver.com/hanja?q=%E7%B3%AE 우리말 'ㅂ'이 'ㅎ'으로 가는 경로를 또 보여 줍니다. 범 호(虎) 범벅 함 불 화(火) 벼 화(禾) 빛날 화(華) 꼭 중간 경로를 밝혀야 한다면, ㅂ-->ㅍ-->ㅎ 범-->포-->호 불-->퐈-->화 fire 우리말 그대로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벼-->퐈-->화 ..
2017.07.16 -
벌게 고찰
벌레 고찰 옛말은 '벌에', 방언으로 '벌게'가 있습니다. 벌게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6391200&directAnchor=s166909p106588d167058 벌게를 통해서 고어는 '벍' 이고 '벓' 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017.07.16 -
마을의 옛말 종성
마을의 옛말, 종성 종성를 보시면 정확히, ㅀ 이 남아 있습니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5029900 삼각형은 ㅅ과 ㅇ 사이인데, 현대는 ㅇ 으로 남아 있지만, ㅅ 으로도 보이기도 합니다. ㅅ과 ㅇ 사이도 당시 낼 수 있었고, ㅇ 은 ㅅ 으로 살아나거나 ㅅ 이 ㅇ 으로 변하는 것에 대한 명..
2017.07.09 -
훈민정음 용자례: 파 총(蔥)
훈민정음 용자례: 파 총(蔥) ㅍ 이 ㅊ 으로 가는 경우입니다. 풀 초(草) 파 총(蔥) 풀의 원 발음은 '픓'로 추정 파의 원 발음은 '팛'로 추정 반대로 ㅊ에서 ㅍ 으로 채찍 편(鞭)
2017.07.08 -
훈민정음 용자례: 벌 봉(蜂)
훈민정음 용자례: 벌 봉(蜂) ㅂ 그대로 남은 경우입니다. 박대종샘도 언급하셨습니다.
2017.07.08 -
훈민정음 용자례: 발 臂
훈민정음 용자례: 발 비(臂) ㅂ 그대로 남은 경우입니다. 현재음은 '팔' 훈민정음은 'ㅂ.ㄹ' 발 비(臂)
2017.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