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에서 갑골문으로(32)
-
빛 광 도 복습
빛 광 윗 부분을 ㅂㄱ 으로 보았고 모음이 포함 될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습니다. 아래 부분을 ㅀ 으로 보았습니다. 혹은 ㄼ 인데 ㅂ 을 약간 풀어져 표시했습니다. 무릎 부분이 ㄹ, 꺽인 발 부분이 ㅅ,ㄱ, v 에 해당합니다. 상형으로 보면, '빛사람=배달 사람' 을 표현하는 것입니다.
2021.12.10 -
별성 도 상형 한글로 읽어 보았습니다.
'별 성' 옛말은 'ㅂ셣' 이고 그 이전은 'ㅂ셟' 입니다. https://hanja.dict.naver.com/#/entry/ccko/60d7948545f7460e9f38641498fba637 ㅄ 을 중간 문자로 보고 모음을 ㅗ [ㅕ]로 보고 종성 ㄹㅂ/ㅀ 을 ㅁ 으로 보았습니다. 즉 고대 그릇 문자-가림토-의 중원판이라고 보는 것입니다.
2021.12.10 -
갑골문, 존경의 의미
갑골문, 존경의 의미 이것은 주(酒)로 해석합니다. 술단지인데, 이것은 토기가 아래가 팽이형으로 된 것인데, 팽이형 토기를 만든 사람, 혹은 그런 그릇을 말한다고 봅니다. http://www.chineseetymology.org/CharacterEtymology.aspx?characterInput=%E9%85%92
2017.11.01 -
쥐 의 비교
쥐의 비교 http://www.chineseetymology.org/CharacterEtymology.aspx?characterInput=%E9%BC%A0 갑골 쥐를 보면 쥐 그림에 주변 점 3개는 주워먹는 곡식을 말합니다. 6국 전서에 와서는 쥐의 모습이 거의 사라진 문자가 됩니다. 고조선문자 쥐와는 품위가 다릅니다. http://blog.daum.net/daesabu/18285556
2017.07.12 -
초기 문자 그대로 밭 전
초기 문자 그대로 현 한자 田 http://www.chineseetymology.org/CharacterEtymology.aspx?characterInput=%E7%94%B0 누구나 밭을 그렸다고 생각할 수 있고, 현 한자에 완전히 남은 그림 문자입니다. 한자음 '전'의 고어는 '밭' 이라고 추리합니다. 밭 밭(田)--->핱--->산/선--->전
2017.07.07 -
갑골문의 나무와 물
갑골문의 나무와 물 잘 알려진 문자입니다. 누구나 알 수 있고 이해할 수 있는 그림입니다. 그 이전에 고령 바위에 이런 하늘 부호를 새기신 것입니다. http://blog.daum.net/daesabu/18298247
2017.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