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국어·훈민정음 단어 변음 법칙 (132)
-
훈민정음 용자례:납 원
훈민정음 용자례: 납 원(猿) 역시 좀 어려운 변음입니다. ㄴ이 ㅇ 으로 변음됩니다. 가장 기본 변음 중 하나입니다. 납 눤(猿)--->원
2017.07.06 -
훈민정음 용자례: 노루 장
훈민정음 용자례: 노루 장(獐) 좀 어려운 변음입니다. ㄴ이 ㄷ 으로 다시 ㅈ 으로 갑니다. 노루 낭(獐)-->당-->장
2017.07.06 -
훈민정음 ; 두텁
훈민정음 용자례 두텁(두꺼비)=섬서/섬여 ㄷ 이 ㅈ 을 거쳐 ㅅ 으로 갔다고 봅니다. 다음 ㅎ, 다음 ㅇ 으로 진행했습니다. http://hanja.naver.com/word?q=%E8%9F%BE%E8%9C%8D
2017.07.05 -
훈민정음 용자례: 고치 견
훈민정음 용자례: 고티 견(繭) 고치의 훈민정음 음가는 '고티'입니다. 초성 그대로인 '견' 입니다. 고티의 티는 치로 변합니다. 원래는 '고히'가 첫 음가였다고 봅니다. 고히-->고티--->고치
2017.07.05 -
훈민정음 용자례: 담 장
훈민정음 용자례: 담 장(墻) ㄷ 에서 ㅈ 으로 이 음가는 우리말 안에서 쉽게 일어 나는 변화입니다. 옛 한자음은 담 담(墻)--->장
2017.07.05 -
훈민정음 용자례: 감 시 고찰
훈민정음 용자례: 감 시(枾) 고찰 훈민정음 단어 입니다. 왠만한 담력으로는 ㄱ 에서 ㅅ 변음 되었다 주장하기 힘들 것입니다. 이미 살펴 보았듯이 ㄱ은 ㅎ 으로 갑니다. 꽃 화(花) 그림 화(畵) 곧 ㅎ 에서 ㅅ 으로 변합니다. 감 기--->감 히--->감 시 (枾) 최초 최고가 아니면 주장하시기 ..
2017.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