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핀란드(456)
-
싸다, 포장하다=pakata[파카타]
싸다, 포장하다=pakata[파카타] dict.naver.com/fikodict/#/entry/fiko/83b25748197f4112ba61ee112c7bab06 ‘싸다’의 우리 옛말은 ‘ᄡᆞ다’입니다. ㅂ에서 ‘보자기’, 제주 방언 ‘보달’, ㅅ에서 ‘싸다’, ‘사리’, ㅴ이니 ㄱ에서 ‘꾸러미’, ㄷ의 ‘다발’, ㅌ의 ‘타래’ 가 나오고, ㅂ이 ㅁ 되어 ‘묶음’ 이 됩니다. ㅄ에서 ㅍㅈ 되면, 한자어 ‘포장(包裝)’이 됩니다. ㅴ에서 ㅅ 이 빠지고 ㅂ은 ㅍ의 pa, ㄱ은 ka, 다는 ta 가 됩니다. 그래서 요하 시기 고대 언어를 추리해서 현재 우리가 알 수 있도록 적어보면, ‘보사긿 ᄡᆞ하다’ 정도가 되는 것입니다.
2021.02.07 -
뿜어 나오다=pulskahtaa[풀스카흐타]
뿜어 나오다=pulskahtaa[풀스카흐타] dict.naver.com/fikodict/#/entry/fiko/988c6592ae1c4e5a818e5ba6599fa2a1 뿜어=풀스, ‘힐후다’에서 우리말 ‘나오다’, 핀란드어는 ‘카흐타’가 됩니다. 한자어는 ‘분출(噴出)’과 ‘방출(放出)’이고 영어는 ‘spout’와 ‘spurt’ 인데 우리 옛말이 ‘ᄲᅮᆷ다’ 이니 ㅽ 그대로 sp-가 되었다고 보면 됩니다.
2021.02.07 -
밟다=polkea[폴케아], polkaista[폴카이스타], 발=jalka[얄카]
밟다=polkea[폴케아], polkaista[폴카이스타], 발=jalka[얄카] dict.naver.com/fikodict/#/entry/fiko/98c2be7a2cf944798b87e215ad9926c3 ㅂ음가가 ㅍ되어 핀란드어 pol, ㅀ에서 ㄹㅋ 의 kea, -하다 가 붙는데 –sta 로 변음되어 나타난 것입니다. 즉 우리말 ‘밟다’는 원래 ‘밟하다’ 였음을 알 수 있고 더 근원은 ‘밟ᄒᆡᆶ다’ 였습니다. ‘밟ᄒᆡᆶ다’에서 우리말은 ‘밟다’ 와 ‘밟히다’로 분리 됩니다. dict.naver.com/fikodict/#/entry/fiko/fb0c66b1ee2c4e78838f61afb573b253 ㅂ이 j 되어 핀란드어 jalka[얄카]가 되는데, 원래 말은 우리말과 같은 ‘ᄇᆞᆶ’ 이었습니다. ‘볼..
2021.02.07 -
데리고 가다/대동하다=taluttaa[타루따]
데리고 가다/대동하다=taluttaa[타루따] dict.naver.com/fikodict/finnish/#/entry/fiko/ec50bf73dee240e6bf0848431998b964 ‘데리다’의 ㄷ에서 ㅌ 으로 변하면, taluttaa[타루따]가 됩니다. 영어는 ‘데리고 가다, 배달하다’의 ㄷ 의 deliver 이고, ㅌ의 take입니다.
2021.02.07 -
받다, 가지다, 얻다=saada[사다]
받다, 가지다, 얻다=saada[사다] dict.naver.com/fikodict/finnish/#/entry/fiko/5b891623d3ce480296cc55af4f050120 ㅴ의 이치를 모르면 핀란드어 ‘사다’가 왜 ‘받다/가지다/얻다’ 인가를 알 수 없습니다. ㅂ은 받다, ㅅ 은 saada, ㄱ은 가지다, ㅇ되면 얻다가 됩니다. 영어는 ㅇㄷ 되어 obtain 인데, 우리말 ‘얻다’와 유사하게 되는 것입니다. 가지다는 get, ㅇㅅ 은 accept 가 됩니다. ㅂㅎ에서 ㅎ이 ㄹ되니 re 이고 ㅅ은 ceive 이니 receive 란 단어가 나오게 됩니다.
2021.02.07 -
덩실덩실 춤추다 =tanssia
덩실덩실 춤추다 =tanssia dict.naver.com/fikodict/#/entry/fiko/81dff13ad62f4a8f981f8daf9d221d81 우리말부터 보자면, 명사는 ‘춤’, 동사는 ‘춤추다’입니다. ㅼ에서 ㄷㅅ 되어 ‘덩실덩실’ 이란 의태어가 되고 영어는 dance 가 됩니다. ㅼ 은 ㅈ되고 다음 ㅊ 되어 ‘춤’이 되고 동사어는 ‘춤하다’에서 ‘춤추다’가 되는 것입니다. 영어는 dance 그대로 동사, 명사가 되는데, 핀란드어는 ㄷㅅ이 ㅌㅅ 되어 tanssi 가 되고 동사어는 tanssia 인데, 원래는 tanssiha(da) 였다가 –a 로 축소되는 동사형입니다.
2021.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