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핀란드(456)
-
닫다=sulkea[술케아]
닫다=sulkea[술케아] dict.naver.com/fikodict/#/entry/fiko/6688acbbb5724e4a8f25e59c2485a8e1 ㅼ 이었기에 ㅅ 은 ‘sulkea[술케아]’가 되고 ㄷ 은 ‘닫다’가 됩니다. 즉 영어의 shut, 쾅 닫으면 slam이 되고 , steek이 되기도 합니다. ㄷ에 상응하는 ㄱ에서 close 가 됩니다.
2021.02.09 -
Vesi on hyvin kirkasta.=물이 아주 맑다
Vesi on hyvin kirkasta.=물이 아주 맑다 [베시 온 휘빈 키르카스타] dict.naver.com/fikodict/#/entry/fiko/e15bad4af846448c9e9e065f45dc1a77 물/ 이다/ 아주 깨끗하다 이제 단문은 어느 정도 해석 가능합니다. 물 수=베시 이다는 축은되어 ‘온’ ‘아주, 매우’의 원형 ㅎ 이 들어간 ‘hyvin’[휘빈] 우리말의 ‘훨씬’입니다. 갓갓다(옛말)/깨끗하다=카르카스타
2021.02.09 -
차다, 박차고 나가다=potkaista[포트카이스타]
차다, 박차고 나가다=potkaista[포트카이스타] dict.naver.com/fikodict/#/entry/fiko/f4ea5f7eff0c415fbc417ed69eaa7fa5 ‘발’ 혹은 ‘박-’은 pot-, ㅺ에서 우리말은 ㅈ/ㅊ의 ‘차다’로 나타나고 한자어도 ‘축(蹴)’이 됩니다. ㄱ 은 영어에서 kick 이 되고 핀란드어에서 ‘-kaista’로 나타납니다.
2021.02.09 -
끊다, 자르다=jättää[죄따]
끊다, 자르다=jättää[죄따] dict.naver.com/fikodict/#/entry/fiko/3e37ea79719f4bf4bb9f0d7ed6b8370f ‘끊다’의 옛말은 ‘ᄭᅳᆭ다’이고 ㅺ 이 ㅈ 되어 ‘자르다’가 되고 핀란드어는 ‘jättää[죄따]’가 됩니다. ‘jättää[죄따]’가 ‘놓아두다’ ‘남기다’ ‘넘기다’의 의미가 될 경우는 ‘ㅻ’에서 ㅅ 이 ㅈ 된 핀란드어 음가입니다. 영어는 cut, clip이고 ㅅ은 sever, snip 입니다. ㅂ 은 ‘부수다’로 알려진 break인데 우리말은 ‘베다’에 해당합니다. ㅅ은 ㅊ의 ch 되어 chop이 됩니다.
2021.02.08 -
끌어 당기다=hinata[히나타], vetää[베타]
끌어 당기다=hinata[히나타], vetää[베타] dict.naver.com/fikodict/#/entry/fiko/51d4d11d9d9d465d9529e3a29539436f ‘끌다’의 ᅌᅦᆺ말은 ‘ᅘᅧ다’ 입니다. 옛말 중에는 ‘ᄭᅳᅀᅳ다/그ᅀᅳ다’ 가 있기도 합니다. ㅎ이 그대로 hinata[히나타]가 되고 v 되어 vetää[베타]가 됩니다. ㄷ은 당기다가 되는데, 핀란드어는 ㅌ 되어 temmmata[템마타] 가 되고, 팽팽하게 당기면 pingotta[핀고따]가 됩니다. pingotta 는 ‘팽팽하게 pin + 끌다 gotta’ 가 되는 것입니다. 영어는 ㅎ의 haul, ㄷ은 draw, drag입니다. ㅌ 되어 tug입니다. ‘(관심을) 끌다’는 claim입니다. ‘(마음을) 끌다’의 경우 ㅳ이..
2021.02.08 -
불다, 불어 넣다=puhaltaa[푸할타]
불다, 불어 넣다=puhaltaa[푸할타] dict.naver.com/fikodict/#/entry/fiko/26d42eb137d144e08c4221daa0374ee6 ‘불ᄒᆡᆶ다’에서 ㅂ 이 ㅍ 되고 종성 ㄹ 탈락라여 pu-, ‘ᄒᆡᆶ다’에서 핀란드어는 ‘-haltaa’ 가 됩니다. 우리말 동사는 ‘흻’ 부분이 빠진 것입니다. 영어 명사는 wind, breeze, 동사는 blow 이고 한자어는 ‘풍(風)’ 이니 전 세계어가 거의 변하지 않았다고 보아도 됩니다.
2021.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