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핀란드(456)
-
쓰다, 기록하다=kirjoittaa[키료이타], sutaista[수타이스타]
쓰다, 기록하다=kirjoittaa[키료이타], sutaista[수타이스타] dict.naver.com/fikodict/#/entry/fiko/edda42c436a4429c97f26052de8ece48 핀란드어는 누가 보아도 우리말 한자어 ‘기록하다’ 그대로 ‘kirjoittaa[키료이타]’입니다. ‘쓰다’는 ‘쓰힐후다’에서 ‘sutaista[수타이스타]’가 됩니다. 고대 어순이 정립되기 전 N형 핀란드인과 한국인(C형과 O형), 한자어 O형이 같이 있었다는 언어 자료 중 하나입니다. 그리고 이미 이 때 ‘글’이 있었다는 자료이기도 합니다. ‘기록하다’는 원래 우리말 ‘글하다’에서 나온 표현이라고 보면, 결국 ‘kirjoittaa[키료이타]’도 우리말 파생이라 보아도 무방합니다. > 몽골어) ГУУЛАХ..
2021.02.19 -
웃다=nauraa[나우라]
웃다=nauraa[나우라] dict.naver.com/fikodict/#/entry/fiko/48b41664854d4d67b96f60256ad06cf4 ‘웃다’ 앞에 초성은 무엇일까요? 의성어와 의태어에 들어 있습니다. ‘싱글벙글’‘생글거리다’이니, ㅲ 은 ‘벙글’, ㅺ은 ‘싱글’이 됩니다. ㅅ에서 영어는 smile, ㅎ에서 ㄹ 되어 laugh 가 나옵니다. ㄱ에서 ㄴ 나오니 nauraa[나우라]가 됩니다. 한자어는 ‘웃을 소(笑)’이고 ㅇ에서 ‘웃을 익(謚)’이 됩니다. 몽골어 инээх[이네-흐], 역시 우리말처럼 ㅇ 이 초성 앞에 있고, ㄴ 음가는 다음에 옵니다. 이를 통해 첫말을 추론해 보면, ‘비눗다’ 가 되고, 여기서 의미가 부정적인 ‘비웃다’와 ‘웃다’로 분리 된 것으로 보는 것입니다.
2021.02.19 -
환하다, 밝다, 무엇이? 해와 달이.
환하다, 밝다, 무엇이? 해와 달이. 환하다의 ㅎ 이 ㅂ 되고 처음에는 ‘ᄇᆞᆶᄒᆞ다/ᄇᆞᆰᄒᆞ다/밝하다’ 였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ᄒᆞ’ 부분이 빠지고 ‘ᄇᆞᆰ다/밝다’ 가 된 것입니다. 무엇이 환하고 밝은 것일가요? 해 sun입니다. ‘해가 환하다’, 다음에는 ‘날이 환하다’가 되고, ‘불이 환하다’가 됩니다. 해의 옛말은 ‘ᄒᆡ’인데 원래는 ‘ᄒᆡᆶ’입니다. 그래서 옛 한자음에 ‘일월’을 ‘ᅀᅵᇙᅌᅯᇙ(日月)’이라 했으니, > 결국 우리말 ‘ᄒᆡᆶᄃᆞᆶ’의 변음이고, 상나라 시대 고대 음은 그냥 한국어였습니다. 몽골어는 нар[날], сар[살] 인데 역시 우리말 ㅎ 이 ㄴ 되고, ㅼ에서 ㅅ 이 살 됩니다. 일어는 ひ[히], つき[츠키]인데 역시 해 그대로 히, ㅼ/ㄷ 이 ㅈ/ㅊ 되어 츠키 ..
2021.02.19 -
꾸미다=koristaa[코리스타], sisustaa[시수스타]
꾸미다=koristaa[코리스타], sisustaa[시수스타] dict.naver.com/fikodict/#/entry/fiko/339da621363c46c4b5a29ad904dab988 dict.naver.com/fikodict/#/entry/fiko/567b5731c54c417fbcd3046f9ccb1ee4 우리말 ‘꾸미다’도 ㅴ 의 분리를 잘 나타내는 단어입니다. 옛말이 ㅂ에서 ‘비ᅀᅳ다’가 되고, ㅺ에서 ‘ᄭᅮ미다’가 됩니다. ㅺ이 ㅈ 되면, 한자어 ‘장식(裝飾)’이 됩니다. 영어는 ㄱ에서 grace 가 되고 ㄱ에 상대하여 decorate, deck 이 나옵니다. a-를 붙여 adorn 이 되기도 합니다. 영어 decorate를 분석해보면, ㄷㄱ 의 deco – 와 하다의 변음 –rate 으로 구..
2021.02.17 -
짧다=lyhyt[리히트]
짧다=lyhyt[리히트] dict.naver.com/fikodict/#/entry/fiko/1a8a2fb5fd664e18b25e490fbbb3c6a5 우리 옛말은 ‘뎌르다’입니다. 한자어 ‘단(短)’ 그대로입니다. 영어는 ㅂ에서 brief, ㅅ에서 short 가 되는 것입니다. 초성이 모두 생략되고 종성 ㅀ 이 핀란드어 lyhyt[리히트]로 늘어납니다. 몽골어 ‘богино[보긴]’ 인데 ㅲ 이 남은 것입니다.
2021.02.16 -
길다=pitkä[핕카]
길다=pitkä[핕카] dict.naver.com/fikodict/#/entry/fiko/4e1cd722e051412a96990c9c857f7484 ‘길다’가 핀란드어 ㅍ 초성으로 나타난 것은 ‘ᄞᅵᆯ다’에서 ㅂ 은 ㅍ 되어 pitkä[핕카]가 된 것입니다. ko.dict.naver.com/#/entry/koko/74b3c17cb0a4426397c2d89444e7a2bb ‘길다’의 옛말은 ‘알오다’로 나타납니다. 현대어가 오히려 초성이 남은 특별한 경우입니다. ㄱ에서 ㅈ 되어 장(長), ‘알오다’의 ㅇ 그대로 ‘길 영(永)’이 됩니다. 영어는 ㄱㅎ혹은 종성 ㅀ에서 ㅎ이 ㄹ 되어 long입니다. 몽골어는 урт[울트]로서 ㅇ 의 ‘알오다’가 거의 그대로 나타납니다.
2021.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