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핀란드(456)
-
바르다, 문지르다=voidella[보이델라]
바르다, 문지르다=voidella[보이델라] dict.naver.com/fikodict/#/entry/fiko/2de8f335178a434699dd398e9f3db5ba ‘바르다’의 영어는 ㅂ의 ㅍ ‘plaster’가 됩니다. voidella[보이델라]는 ‘바ᄒᆡᆶ’에서 변음된 것으로 우리말과 같은 계통입니다. 동의어 ‘씌우다’의 영어는 seal입니다. 핀란드어의 ㅅ은 sivellä[시벨라]가 됩니다. 한자어는 ㅅ 이 ㅈ/ㅊ 되어 ‘칠(漆)하다’가 됩니다. 그래서 ‘붓으로 바르다’ 해도 되고 ‘붓으로 칠하다’해도 되는 것입니다. 또 한가지 그래서 ‘바르다’란 우리말이 있으니 ‘붓’은 원래 한국어란 것입니다. 다음 ‘붓으로 글을 쓰다’ ‘붓으로 그림을 그리다’ ‘붓으로 난을 치다’ , ㅴ에서 ㅂ은 ‘붓’,..
2021.02.13 -
벗기다 와 까다 =kuoria[쿠오리아]
dict.naver.com/fikodict/#/entry/fiko/4b20efafb829498d943e58315f3a53de 벗기다 와 까다 =kuoria[쿠오리아] ko.dict.naver.com/#/entry/koko/828051cba45c41f6acd2ae5925d359cc ‘까다’의 옛말은 ‘ᄢᆞ다’이니 ㅂ은 ‘벗기다’, ㅺ에서 ㄲ 되어 ‘껍질을 까다’ 가 됩니다. 그러면 ‘알을 까다’의 ‘부(孵)’는 ㅴ에서 ㅂ의 부이고, ㄱ은 ‘알을 깔 각’ 이 됩니다. 벗기다의 ㅂ에서 ㅍ에서 peel, pare, ㅺ에서 skin, ㅼ에서 strip이 됩니다. 알을 까다는 ㅂ이 ㅎ 되어 hatch, ㄱ에서 clutch 가 됩니다. ㄱ에서 핀란드어 kuoria[쿠오리아]가 나오게 됩니다. ‘ᄢᆞ다’의 ㅴ을 모두 ..
2021.02.13 -
말 고찰 =hevonen[헤보넨]
말 고찰 =hevonen[헤보넨] dict.naver.com/fikodict/#/entry/fiko/baee5b4e2cf246ceac1ae7a513f62073 말의 핀란드어 hevonen[헤보넨]은 너무 멀어 언어 이치를 모두 이해해야 알 수 있습니다. ㅁ이 ㅎ 되는데 ‘바다 해(海)’의 경로와 같습니다. ㅁㅎ에서 ㅎ 이 vo 가 됩니다. ㅀ은 nen 이 되는데, 모든 이치를 알고 그 언어의 늘어짐까지 다 이해해야 알 수 있습니다. 그러니 영어는 ㅎ의 h 가 되어 horse 가 됩니다. 독어 Pferd[페어트]를 보면 ㅁㅎ 이 pf로 변음되어 남아 있기에 증거자료로 삼을 수 있습니다. 몽골어는 морь[모리]가 되어 우리말 그대로 늘어져 있음을 누구나 알 수 있습니다. dict.naver.com/mnko..
2021.02.13 -
뜨다 =kellua[켈루아]
뜨다 =kellua[켈루아] dict.naver.com/fikodict/#/entry/fiko/2eae28570a79443fbd7bbcdb6d5a5286 ‘뜨다’의 옛말은 ‘ᄠᅳ다’이니, ㅂ에서 한자어 ‘부(浮)’가 됩니다. 영어는 ㅂ의 f의 float입니다. -고조선문자3, 경진출판사, 허대동, 210쪽- 핀란드어는 ㄷ에 상대하는 ㄱ 의 kellua[켈루아]인 것입니다. dict.naver.com/mnkodict/mongolian/#/entry/mnko/5ebf0cfce14940b89b01ae173afa55c6 몽골어는 хөвөх[회뵈흐/흐브흐]인데 구글 발음 표기는 [khövökh]라 합니다. 한글 발음 표기로 ‘흐’라 했지만, 원래 발음 기호는 [kh] 이니 결국 핀란드어 kellua[켈루아]와 같..
2021.02.13 -
쓰다, 소비하다=kuluttaa [쿠루따]
쓰다, 소비하다=kuluttaa [쿠루따], viedä[비에다] dict.naver.com/fikodict/#/entry/fiko/db282b000d06478e8e5e83fe5643d8ad ‘쓰다’의 옛말은 ‘ᄡᅳ다’입니다. 영어는 ㅽ에서 spend 가 됩니다. ㅴ에서 ㄱ의 핀란드어 ‘kuluttaa [쿠루따]’가 됩니다. dict.naver.com/mnkodict/#/entry/mnko/1402fe04fb3b45e58f7e715b31e84d0c 몽골어 зарцуулах[자르촐라흐]는 보기에 굉장히 멀어 보이지만, ㅺ에서 ㅈ 된 경우입니다. ㅂ의 경우 핀란드어는 viedä[비에다]가 됩니다.
2021.02.12 -
돕다=어우따
돕다=autta[아우따] dict.naver.com/fikodict/#/entry/fiko/6448e33f319e4173825433fdf3d5e35f ‘돕다’도 역시 많은 자료를 제공하는 단어입니다. ㄷㅎ에서 ㅎ의 help 이고, ㅵ에서 ㅄ 의 ㅇㅅ의 assist이고, ㅵ 이 다 사라진 핀란드어 autta[아우따]입니다. ㅼ의 ㅈ이니 ‘도울 조(助)’가 되고 ㅵ에서 ㅂ은 한자어에서 ‘도울 부(扶)’가 됩니다. -고조선문자3, 경진출판사, 허대동, 232쪽- 몽골어 туслах[투스라흐]는 , ㄷ 이 ㅌ 된 경우이고, dict.naver.com/mnkodict/#/entry/mnko/a8c4f10bb64e4a37b6dd3d2fdc98bb6b ㄷ 그대로 дэмжих[뎀지흐]가 되기도 합니다.
2021.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