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핀란드(456)
-
핀란드어 달리다의 tikata[티카타] 분석 (복습)
핀란드어 달리다의 tikata[티카타] 분석 (복습) 우리말 그대로 ‘뛰어 가다’입니다. 우리말 ‘다리’의 원래말은 제주 방언에도 보듯이 ‘가달’입니다. 즉 원형은 ‘ᅚᆞᆶ’ 이고 동사형은 ‘ᅚᆞᆶᄒᆡᆶ’입니다. ㄱ에서 가다, 거(去), go, gehen 이 나오고, ㄷ에서, 다리, 달리다, 뛰다, dash가 나옵니다. 딛다, ㅼ에서 step, ㅌ 의 tread 가 됩니다. 후에 ‘뛰다’가 나온 후, ‘뛰어 가다’가 되고 핀란드에서는 ‘tikata[티카타]’가 됩니다. ㅲ/ㅳ 이니 ㅂ 은 우리말 ‘발’ ‘밟다’가 되고 ㅴ/ㅵ 의 ㅅ에서 ㅈ 의 족(足)이고, 영어는 foot 이 됩니다.
2021.04.14 -
핀란드어 katsoa[카초아] 분석
핀란드어 katsoa[카초아] 분석 dict.naver.com/fikodict/finnish/#/entry/fiko/d76555578bd1449fb36bd5d52e595fbb 보다 의 경우, ㅲ에서 카초아, 즉 한자어 견(見), 근원적으로 ‘ᄞᆞᄒᆡᆶ(다)’에서 ‘가호아’-->‘카초아’ 고르다의 경우, ‘고ᄒᆡᆶ’에서 ‘가초아’ 생각하다의 경우, ㅅ 탈락 ‘각ᄒᆡᆶ’에서 ‘가호아’-->‘카초아’
2021.04.14 -
나라=발타쿤타
나라 고찰 dict.naver.com/fikodict/#/entry/fiko/3d86a917f9c148cb97ad53594dc744c7 valtakunta[발타쿤타] ‘나라 귁/국’, 원래는 ㄱㄴ 음가로서 같은 소리였다고 말씀드렸습니다. 핀란드어 ‘나라’의 ‘valtakunta[발타쿤타]’에서 ‘쿤타’는 ‘국(國)’에 해당합니다. dict.naver.com/fikodict/#/entry/fiko/b409d02b2add4fc8b1623d0cc25ff79e 그러면 ‘valta-’가 궁금한데 형용사 ‘valtava’ 가 있습니다. 뜻은 ‘대단한’‘엄청난’ 이니 결국 ‘ᄒᆡᆶ’의 ‘한’에서 ㅎ이 v 되고 ㅀ 은 lta 가 되었다고 보는 것입니다. 한자어로 고치면, ‘한국(韓國)’이 되는 것입니다. ‘크고 높고 ..
2021.04.03 -
교착어로 푸는 한국어와 핀란드어
교착어로 푸는 한국어와 핀란드어 ko.dict.naver.com/#/entry/koko/346397ae8a764c23853f8e446b3911b8 우리말과 핀란드어는 교착어입니다. 그래서 나는 물을 마신다. 라는 표현이 기본 문장 표현입니다. 나는 마신다 물을. 이라고 해도 우리말은 이해가 되는 언어입니다. 즉 영어처럼 어순 언어가 아니라서 위치가 비교적 자유롭습니다. 핀란드어의 기본 어순은 ‘주동목’ 이지만, 우리말처럼 교착어이니 ‘주목동’으로 하면 우리말과 같은 표현이 나오게 됩니다. 그리고 우리말은 주어 생략이 자유롭듯이 핀란드어도 주어를 생략합니다. ‘Juon vettä.[유온 베타] =마신다 물을’ 이렇게 됩니다. 만약 핀란드어인에게 우리말 식으로 ‘vettä juon/juoda’ 라고 해도 알..
2021.03.14 -
꽃=kukka[쿠까], 꽃피다=kukoista[쿠코이스타]
꽃=kukka[쿠까], 꽃피다=kukoista[쿠코이스타] 꽃의 첫 원어가 ‘ᄀᆞᆶ’로 추정되니 ㄱ 초성 그대로 kukka[쿠까], 동사는 ‘-ᄒᆞ다’를 붙이니 ‘꽃ᄒᆞ다’에서 ‘꽃피다’가 되고, 핀란드어에서는 ㅎ이 ㅅ 되니 ‘–sta’가 됩니다. ㅲ에서 ㅂ 은 영어 bloom, blossom 이 되고, f 의 flower 가 됩니다. 몽골어는 цэцэг[체첵], ㅺ에서 ㅊ 된 것입니다. ㅲ에서 ㅂ 이 ㅎ 되니 한자어 화(花)가 됩니다.
2021.02.25 -
수저=lusikka[루시카]
수저=lusikka[루시카] dict.naver.com/fikodict/#/entry/fiko/9dc91b2b92e34e77bc15951b76cc1991 ‘숟가락’에서 ㅅ 앞에 ㄹ 붙어 ‘루시카’ 가 됩니다.
2021.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