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핀란드(456)
-
너를 고찰해보겠습니다.
너를 고찰해보겠습니다. 너/니 현 중국어 그대로 니(你)입니다. 고대 한자어는 ‘너 여(汝)’인데 ㅂㄴ 이 사라진 뒤 나타난 것으로 영어 you 와 같습니다. ㅂㄴ 은 ㅳ 이기도 하니 독어 du, 한자어 ‘당신(當身)’, 몽골어는 Ta[타] 혹은 ЧИ[치]라 합니다. https://dict.naver.com/fikodict/#/entry/fiko/03a0765b306b44608795140083d3919e ㅅ을 보면 핀란드어 sinä[시나], 터키어 sen[센]이 되는 것입니다. 우리말도 원래는 ㅻ 의 sinä[시나]였을 것입니다. 그래서 핀란드어 Mitä sinä teet? [너는 무엇을 하고 있니]?를 보면 전혀 다르지만, 무엇의 핀란드어가 mikä[미카]이고, ‘무엇을’이라고 하면 mitä입니다. 핀..
2021.07.04 -
최고 난이도 중의 ‘자다’의 nukkua[누쿠아] 설명
최고 난이도 중의 ‘자다’의 nukkua[누쿠아] 설명 우리말 ‘자다’의 영어는 sleep입니다. ㅅ에서 ㅈ 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면 핀란드어와는 너무 먼 듯 하지만, 원래 ㅴ 다음 ㄱ에서 ㄴ 나오게 됩니다. 그래서 ㅺ에서 우리말은 ‘자다’ , ㅅ에서 영어 sleep, ㄱ에서 ㄴ 되어 nukkua 가 됩니다. ‘ㅄㄴ’에서 나왔다고 해도 됩니다.
2021.05.23 -
닦다. ㅅ은 쓸다, ㅁ 은 문지르다
닦다. ㅅ은 쓸다, ㅁ 은 문지르다 ‘닦다’ 의 영어는 polish 로서 일반적인 영단어 공부로는 무조건 외워야 합니다. 그러나 ㅳ에서 보면 ㅂ/ㅁ 은 ‘문지르다’가 되고 ㅍ 되어 영어 mop, polish 가 됩니다. w 되면, wipe 가 됩니다. ㅅ에서 shine 이 되기도 합니다. https://dict.naver.com/fikodict/#/entry/fiko/25be59ba56094a84838f7862385dab2f 그래서 핀란드어 pyyhkiä[피흐키아]가 되는데, ㅁ/ㅂ 의 ㅍ 인 것입니다. ‘쓸다’의 영어는 sweep이니, 우리말 그대로라 보아도 됩니다.
2021.05.23 -
가다 추가 복습
이미 우리말 ‘가다’ 거의 그대로 라틴어와 핀란드어 그리고 서양제어에 있다는 것을 입증했습니다. 그러면 mennä[멘나]는 무엇일까요? 바로 ㅁㄱ에서 ㅁ의 mennä[멘나]입니다. 바로 ㅁㄱ에서 ㅁ의 mennä[멘나]입니다. 즉 ‘발’의 ㅂ 의 ㅁ입니다. https://ko.dict.naver.com/#/entry/koko/4469dfe281bb4961aa3bf338c132efc5 그리고 우리말의 ㅁ 은 바로 ‘뮈다’로서 ‘움직이다’ 의 옛말입니다. 영어 move 가 됩니다. 정리하자면, 가다=go=käydä[카다] 뮈다(움직이다)=move=mennä[멘나]입니다.
2021.05.22 -
약
https://dict.naver.com/fikodict/#/entry/fiko/9baeff4612f247b896db1292ffe12dd3 lääke[라케] 약(藥), 즐거울 락(樂)위에 草 올렸습니다. https://ko.dict.naver.com/#/entry/koko/1020fd02bc8f459e9511d3af2730904f 우리말 '즐겁다'의 다른 옛말이 '랍다' 입니다. 아픈 상태에서 원래 '즐거운' 상태로 만드는 물질이라 해도 되고,,, 고치는 물질이니 고치다의 '골힐다'의---> '고랗다' --->ㄱ탈락 '랗/락' 이라 해도 됩니다. 이치 상으로는 '고치는 물질'이 더 낫습니다.
2021.05.21 -
‘가다’ 의 핀란드어 käydä[카다]와 mennä[멘나]를 통한 고찰
‘가다’ 의 핀란드어 käydä[카다]와 mennä[멘나]를 통한 고찰 https://dict.naver.com/fikodict/#/entry/fiko/c327a37967da415aa684e2ca570920e2 이미 우리말 ‘가다’ 거의 그대로 라틴어와 핀란드어 그리고 서양제어에 있다는 것을 입증했습니다. https://dict.naver.com/fikodict/#/entry/fiko/3a9245503fae45faa9613e7975e5c0e2 그러면 mennä[멘나]는 무엇일까요? 바로 ㅁㄱ에서 ㅁ의 mennä[멘나]입니다. 바로 ㅁㄱ에서 ㅁ의 mennä[멘나]입니다. 즉 ‘발’의 ㅂ 의 ㅁ입니다 그러면 ‘요하문명’시기 ‘발’ ‘가다’ ‘다리’ 에 관한 소리는 ‘ㅂᄀᆞᆶᄃᆞᆶᄒᆡᆶ’ 이었다는 것을 알 수..
2021.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