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핀란드(456)
-
쌓아 놓다 =latoa[라토아], 잣 성(城)
쌓아 놓다 =latoa[라토아], 잣 성(城) dict.naver.com/fikodict/#/entry/fiko/f90f71928ca643ceba77d784ea2a002d ‘쌓다’ 는 한자어로 ‘성(城)’이고, ㅅ 이 ㅈ 되어 우리 옛말 ‘잣’이 되고 제주 방언 ‘돌담’을 말하는 단어 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ㅼ’에서 ㄷ 은 ‘담’ 이 되고 ‘ㅼ’이 ㅈ 되면, 한자어 ‘장(墻)이 되기도 합니다. 제주 방언에 ‘쌓다’를 ‘제기다’라고 하니 ㅺ 이 ㅈ 되었다고 보는 것입니다. 영어는 ㅅㄷ에서 stack, set up, 구조를 쌓으면 structure 가 됩니다. ㅂ 은 build, ㅍ 되어 pile 이 됩니다. blog.daum.net/daesabu/18322594?category=152 라틴어도 struo..
2021.02.02 -
돌리다=kiertää[키에르타], 돌리다/굴리다=kelata[케라타] 재 고찰
돌리다=kiertää[키에르타], 돌리다/굴리다=kelata[케라타] dict.naver.com/fikodict/#/entry/fiko/1ca8f08830d64cb2b49c3cdb24a1d4d0 'ㄱᄃᆞᆶ'에서 우리말과 영어는 ‘돌리다, 돌다’이고, 영어는 ㅌ 되어 turn입니다. ro가 추가되면서 rotate입니다. 그러면 ㄱ 은 어디에 있을까요? 영어는 발음이 변하여 circulate 이지만, dict.naver.com/lakodict/#/entry/lako/f69baa841d53476faabc069e6108cc65 라틴어는 circumroto[키르쿰로토]로서 ㄱ 발음이 그대로 나타납니다. 핀란드어는 ㄱ 에서 '기에르다-->키에르타' 변화가 되는 것입니다. 또 다른 단어 하나는 kelata[케라타]인..
2021.02.01 -
주다, 손 재 고찰
주다=suoda[수오다], 손=käsi[쾨시] dict.naver.com/fikodict/#/entry/fiko/ce7123af46154ba88e4f13eff1811f60 ‘손으로 주다’이지만, 원래는 ‘손으로 수다’입니다. 한자어는 ‘줄 수(授)’이고 ㅺ에서 ㄱ 의 ‘줄 급(給)’이고 영어는 give입니다. -한자와 영어 관계는 박대종 샘 연구가 있습니다.- ㅅㅎ에서 ㅎ 의 hand 이고 앞에서 언급한 ㅺ 의 ㅅ이 동사가 되어 ‘suoda[수오다]’가 되고, ㄱ 이 ‘손’의 핀란드어 명사 ‘käsi[쾨시]’입니다. 한자어는 다 아시다시피 ‘손’의 종성 ㄴ 탈락 ‘수(手)’가 됩니다. 영어는 공식적인 표현으로 사용할 때 present를 사용하니 pre는 앞으로 sent 가 ‘주다’ 가 됩니다. ㅅㅎ 이니..
2021.02.01 -
모으다/거두다=kerätä[케라타]=collect
모으다/거두다=kerätä[케라타]=collect dict.naver.com/fikodict/finnish/#/entry/fiko/7e61e89d482b41f49cd5e090106009be 즉 이것은 우리말의 ‘긁다/거두다’이고 ‘긁어 모으다’가 됩니다. ㅁㄱ에서 ㅁ 의 모으다, 모집(募集)이 되고 ㄱ에서 긁다, 핀란드어 kerätä[케라타]가 됩니다. 의미를 좀 더 확대하기 위해서 ‘긁어 모으다’란 우리말이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영어 collect, gather과 거의 같게 되는 것입니다. en.dict.naver.com/#/entry/enko/07c88bba12a34f5ebe868c12bca84b36 영어에도 ㅁ/ㅯ 이 있는데 muster 이고, dict.naver.com/svkodict/swedi..
2021.02.01 -
꾸미다=sisusta[시수스타] 복습
꾸미다=sisusta[시수스타] dict.naver.com/fikodict/#/entry/fiko/567b5731c54c417fbcd3046f9ccb1ee4 우리 옛말은 ‘비ᅀᅳ다’, ‘ᄭᅮ미다’이니 핀란드어와는 많이 달라 보입니다. 역시 우리 옛말을 보면 ‘ᄢᅮ히다’에서 2개의 옛말 ‘비ᅀᅳ다’, ‘ᄭᅮ미다’ 가 나온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한자어는 ‘꾸밀 식(飾)’ 만 잘 알려져있지만, ‘꾸밀 분(扮)’, ‘꾸밀 비/클 분(賁)’ ‘꾸밀 장(裝)’도 알만한 한자어입니다. ‘분장(扮裝)’으로 잘 사용되고, 우리말 ‘비ᅀᅳ다’의 ‘비’는 한자어 ‘꾸밀 비/클 분(賁)’가 되는 것입니다. ㅺ 이니 ㅈ 되어 ‘꾸밀 장(裝)’이 되는 것입니다. ㅅ 으로 시작하면서 ‘ᄒᆡᆯ흐다’ 가 모두 ㅅ 으로 변하여 ‘si..
2021.01.31 -
빛나다/비치다=paista[파이스타], 빛=paiste[파이스테], valo[바로], säde[쇠데] 복습
빛나다/비치다=paista[파이스타], 빛=paiste[파이스테], valo[바로], säde[쇠데] dict.naver.com/fikodict/#/entry/fiko/64b5e9617d224c4589580cbc4b45e31b ㅂㅅ이 ㅍㅅ 되어 동사 paista[파이스타]가 됩니다. ‘빛’이란 명사를 보면, ㅂ 의 valo[바로], ㅅ 의 säde[쇠데] 임을 알 수 있고, ㅄㄷ 이 모두 들어가서 ㅍㅅㅌ 되어 paiste[파이스테]가 됩니다. ㅴ 은 ‘빛 광(光)’이고 ㅵ 은 ‘별 성(星) star’ 가 되는 것입니다. ㅵ 의 ㄷ에서 ㅌ 되니 핀란드어 tähti[퇴흐티]가 나오게 됩니다. 밝은’ 형용사는 valoisa[바로이사]로서 ‘빛’ 명사 valo[바로]에 +isa 형태입니다. ‘밣흻(다)’ 에서 ..
2021.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