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독어(97)
-
고대 노르드어: 바다
English–Old Norse Dictionary compiled by Ross G. Arthur In parentheses Publications Linguistics Series Cambridge, Ontario 2002 고대노르드어 (naver.com) 고대 노르드어 124쪽에서 재 확인 바다 재 확인 sea= ver[벨] sea = viðir[비딜]
2023.01.04 -
고대 독어: 꾸러미 =kerba(n)
29쪽 kerba(n)= m. Bündel Bündel [뷘델]은 ‘보따리/소포/꾸러미’입니다. 영어 단어는 잘 아시는 ‘번덜/bundle’입니다. kerba[케르바]는 바로 우리말 ‘꾸러미’그대로입니다. ‘꾸르비’라 해도 큰 차이가 없으니 ‘꾸르비’하면 더 고대 게르만어에 다가갑니다. '례':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우리가 옛말로 ‘꾸러미’의 ‘ᄢᅳ례’를 잘 간직하고 있었기에 kerba(n)가 ‘꾸러미’임을 알 수 있는 것입니다. 우리말은 ㅂ에서 ‘보따리’가 되는 것이고 ㅅ에서 ‘싸다’가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보따리를 싸다’ 혹은 ‘보따리를 꾸리다’라고 하는 것입니다.
2023.01.04 -
고대 독어: 과자
26쪽 kakoˆn f., koˆka(n)= m. Kuchen, Klumpen. 'Kuchen': 네이버 독일어사전 (naver.com) Kuchen[쿠헌]은 ‘과자’를 말합니다. 우리 고유어는 ‘과즐’이고 한자어가 ‘과자(菓子)’인데 아이들말로는 ‘까까’라 합니다. kakoˆn[카콘] f. 과 koˆka(n)[코카(ㄴ)]은 우리말 ‘과즐/과ᄌᆞᆯ’의 태고어 ‘과글/과ᄭᆞᆯ’에서 나온 단어들입니다. isl. kaka f. Kuchen (engl. cake aus dem Nord.) 특히 isländisch(아이슬란드어) kaka[카카]는 우리 어린이말 ‘까까’와 완전 동일한 것입니다. 설명에 영어 단어 cake는 nordisch(노르딕어)어에서 나왔다 라고도 설명을 첨가했습니다. ‘기름에 굽고 튀긴’ 의..
2023.01.04 -
구 단위 비교: 2. 물을 들이키다
2. 물을 들이키다 ‘물’의 옛말은 ‘믈’로만 되어 있지만, ‘다슬기’를 ‘배틀조개’라 하듯이 ‘배들/배틀’이란 태고어가 남아 있습니다. 또 심마니어로 '숨':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수음/숨’으로 남아 있기도 한데 ㅄ/ㅁㅅ에서 분리된 단어이자 한자어 ‘수(水)’입니다. Wasser trinken. [바써 트린켄] = 배들/브슬/므슬 들이키다 (태고 한국어) 거의 같은 구를 사용했습니다.
2023.01.04 -
고대 게르만 구 단위 표현 -1
1. 말을 타다 'auf|reiten': 네이버 독일어사전 (naver.com) 현재 ‘타다’의 독일어는 beschreiten[베쉬라이텐]/reiten[라이텐]입니다. 우리말 ‘타다’ 앞의 ㅄ이 그대로 담긴 beschreiten[베쉬라이텐]이고 ㅄ 생략 뒤에 reiten[라이텐]이 나오는데 영어 단어 ride입니다. sch는 ‘승마(乘馬)’의 ‘탈 승(乘)’부분입니다. ‘말’은 보통 독어로 Pferd[페르트]라 하지만, 앞에서 찾아보았듯이 고대 노르딕 언어로 ‘말’은 현재 우리말 그대로 ‘marr[말]’입니다. 그래서 ‘말을 타다’를 현대 독일어로 하자면 ‘ein Pferd aufreiten/reiten’이 됩니다. 고대 노르딕 언어 시대에는 marr beschreiten[말-베쉬라이텐]이라 했던 것입니..
2023.01.04 -
27. 구멍=Grube[그루버]
27. 구멍=Grube[그루버] 초성 ㄱ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경우입니다. 한국어=독어 복습 1. zittern[지턴]=떨다, 전율하다, 진동하다 우리말 ㅳ/ㅼ에서 ㅈ 된 것이 한자어 ‘진동(振動)’입니다. 진-동-하다 zit-ter-n beben[베번]=우리말 ‘벌벌’이 여기에 있었습니다. schütteln[쉬텔른]=ㅅㆁ 의 sch입니다. 2. 보글 보글 끓다 kochen[코헨]은 ‘끓다’의 ㄱ의 ㅋ입니다. brodeln[브로델른]은 ‘보글 보글’입니다. sieden[지덴]은 우리말 ‘삶다’입니다. 우리말 ‘보글 보글 끓다’에 맞추면 brodeln- brodeln-kochen입니다. 3. 디다/디디다=treten treten[트레턴]은 ㄷ의 ㅌ입니다. ㅂ이 붙어 있어야 하니 바로 betreten[베트레..
2023.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