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 구멍=Grube[그루버]

2023. 1. 4. 19:41한국어=독어

27. 구멍=Grube[그루버]

 

초성 ㄱ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경우입니다.

 

 

한국어=독어 복습

 

1. zittern[지턴]=떨다, 전율하다, 진동하다

 

우리말 ㅳ/ㅼ에서 ㅈ 된 것이 한자어 진동(振動)’입니다.

 

--하다

zit-ter-n

 

beben[베번]=우리말 벌벌이 여기에 있었습니다.

 

schütteln[쉬텔른]=ㅅㆁ 의 sch입니다.

 

 

2. 보글 보글 끓다

 

kochen[코헨]끓다의 ㄱ의 ㅋ입니다. brodeln[브로델른]보글 보글입니다. sieden[지덴]은 우리말 삶다입니다. 우리말 보글 보글 끓다에 맞추면 brodeln- brodeln-kochen입니다.

 

3. 디다/디디다=treten

 

treten[트레턴]은 ㄷ의 ㅌ입니다. ㅂ이 붙어 있어야 하니 바로 betreten[베트레턴]인 것이고, 우리말 발디디다입니다.

 

ein Haus betreten =집에 들어가다

[아인 하우스 베트레턴]

 

우리말 식으로 () 발디디고 들어가다입니다.

 

4. 개다/반죽하다=kneten[크네턴]

 

우리말 개다의 ㄱ이 늘어지면서 ㄱㄴ 된 경우입니다.

 

5. 바꾸다=wechseln[벡셀런]

 

우리말은 두 번째 초성 ㅺ에서 ㄲ으로 나타나고, 독어 단어는 ㅅ 만 남은 것입니다. wechseln은 원래 beckseln이었습니다.

 

6. 부수다 =brocken[브로컨]

 

우리말 방언 빠개다’, 거의 그대로 brocken[브로컨]인데 원래는 brockeda 로 추정합니다. 그냥 우리말 구어체 빠개네의 서양 독일어 버전이 brocken[브로컨]입니다.

 

7. 갈다/빻다=mahlen[말런]

 

우리말 갈다가 ㅁㄱ 의 ㄱ이고, 한자어가 갈 마()’이고, ‘갈다의 동의어는 우리말 문지르다입니다. 문지르다()’의 독어 버전이 말런/mahlen’입니다.

 

8. 부르다=rufen, anrufen

 

합용 병서의 이치를 반드시 알아야 하는 단어입니다. ㅲ에서 ㄱ은 영어 call 이 되고 ㅲ이 ㅇ-ㄹ 되면 anrufen 이 되고, ㄹ 만 남은 것이 rufen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우리말 부르다에서 -’가 빠지고 르다루펜인 것입니다. 이런 이치만 알면 결국 rufen의 옛말은 burufen/berufen 이란 사실을 알 수 있고, 실제 단어 berufen[베루펜]이 현대 독어에서 소환하다로 남아 있습니다.

 

--

be-ru-fen

 

9. 쓰다=schreiben[쉬라이번]

 

글 쓰다이니 ㅺ 의 쓰다입니다. ㅅㆁ에서 sch-되어 schreiben[쉬라이번]이 됩니다.

 

10. 베껴 쓰다/복사하다=abschreiben[압쉬라이번]

 

우리말 베껴-쓰다줄여서 한자어 복사(複寫)’가 됩니다. ‘베끼다의 ㅂ이 ㅇ 되어 ab된 것입니다. 원래는 babschreiben[밥쉬라이번]이었습니다. ‘베껴 쓰다가 한자어와 독일어 버전이 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고조선문자3, 경진출판사, 허대동 참조

 

11. 글 쓰다, 기술하다=beschreiben[베쉬라이번]

 

ㅂ이 현대 독어에 남은 쓰다인데 우리말로는 붓글씨 쓰다인 것입니다.

 

12. 말하다=melden, sprechen

 

의 종성 ㅀ 이 ㅪ 되고, ‘-하다‘-en’ 에 대응하는 것입니다.

 

13. 알리다, 신고하다=anmelden[안멜덴]

 

 

알려-말하다’ =‘/an-말하다/melden’

 

14. 떼다=trennen, abtrennen

 

떼다는 ㅳ에서 ㄷ의 ㅌ이 trennen[트렌넨]인데 우리말로 떼어내다인 것입니다. ㅳ이 ㅇ-ㅌ 된 것이 abtrennen[압트렌넨]이고, ab자체가 떼다이니 떼어-떼다떨어뜨리다인 것입니다.

 

15. 달리다=laufen, rennen

 

우리말의 ㄷ 이 탈락한 후 나타난 독어 단어인데 원래는 dalaufen/darennen 이었습니다. ‘발달리다에서 ㅂ-ㄷ 이 탈락해서 나타난 독어 단어인데 ㅂ은 f 되어 flitzen[프리전]이 됩니다. 원래 가장 첫 단어는 fdalaufen/fdarennen 이었고, 다음 dalaufen/darennen 되고, 현대 독어 laufen, rennen, flitzen으로 남은 것입니다. 탈 것이 가고 달리면 fahren[파런]이 됩니다.

 

16. 보다=blicken, sehen/schauen

 

보다의 ㅂ은 blicken[브리컨]이고, ‘볼 시()’schauen[샤우언]이 되고, ㅈ 되어 sehen[제언]이 됩니다.

 

17. 모으다=sammeln

 

 

 

모으다 , 모집하다 에는 sammeln 을 기준으로 앞에 ver 를 붙여 versammeln을 만들고, an 을 붙여 ansammeln 을 만들고, ein 을 붙여 einsammeln 을 만듭니다.

 

 

 

'모으다' 의 옛말은 '모도다'이니

 

 

 

'versammeln': 네이버 독일어사전 (naver.com)

 

-ㅅㄷ 에서

 

v-ㅅ 된 것입니다.

 

 

 

'muster': 네이버 영어사전 (naver.com)

 

영어는 ㅁ 의 muster 가 분명히 있습니다. 그래서 독어 versammeln mersammeln 이 되지 않고 고어 형태를 유지하고 있어 알 수가 없었습니다.

 

 

 

'assemble': 네이버 영어사전 (naver.com)

 

ansammeln/einsammeln 과 같은 정도 변화를 거친 영단어가 assemble 입니다.

 

 

 

'werben': 네이버 독일어사전 (naver.com)

 

독일어에서 순음을 찾으면 '모집하다'werben [베르번]입니다.

 

 

 

 

 

# 이것은 '싸매다' '짜매다' 와 같은 어원을 가졌다고 추정할 수 있습니다. 왜냐 하면 '동여 매다''모이다'라는 큰 의미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고대에 의미가 분리 되기 전 '싸매다''싸매다''모이다'2가지 의미를 모두 지녔다고 보는 것입니다.

 

 

18. 듣다/이해하다=verstehen

 

 

 

'hören': 네이버 독일어사전 (naver.com)

 

'듣다'는 보통 hören[회런]이라 합니다.

 

 

 

그런데 '이해하다'가 왜 '듣다'일까요?

 

 

 

역시 고대 언어 법칙이 숨어 있습니다.

 

 

 

'verstehen': 네이버 독일어사전 (naver.com)

 

verstehen[베어쉬테언]

 

 

 

'듣다'의 ㄷ 앞에 ㅅ 붙인 것이 sdehen-->stehen 이고, 다시 앞에 ㅂ의 ver 붙은 것이

 

verstehen[베어쉬테언]입니다.

 

 

 

그래서 '들어서 알다' '들어서 이해하다'가 된 것입니다.

 

 

 

 

 

'':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싸매다'의 고어 초성은 ㅄ 으로 풀어지면 versammeln 이 되는 것입니다.

 

19. 먹다=fressen, essen

 

 

 

이미 수 없이 검토한 단어입니다.

 

'mando': 네이버 라틴어사전 (naver.com)

 

라틴어는 mando[만도]로서 거의 우리말입니다.

 

 

 

다음 영어는 munch eat 인데

 

 

 

독어는 보통 essen 입니다.

 

'fressen': 네이버 독일어사전 (naver.com)

 

다음 순음이 붙게 되면 fressen 으로 '게걸스럽게 먹다' 가 됩니다.

 

 

 

ㅁ 과 ㅅ 은 우리말에 '씹어 먹다'가 되는데,

 

'먹고 씹다' 가 되면 바로 '먹을 식()'이 됩니다.

 

 

 

'먹을 끽()'은 바로 우리말 '끼니'입니다.

 

20. 소환(召喚)하다

 

부를 소()’부를 환()’인데 우리말로 표현하자면 부름-부름-하다인 것입니다. 독어로 부르다rufen/berufen인데 abberufen 이라 하기도 합니다. 여기서 ab-은 바로 부르다ab으로 줄어든 것으로 원래는 ‘bab-beru-fen’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1. 파다/캐다=graben[그라번]

 

ㅲ에서 ㅂ은 ㅍ 되어 파다가 되고, ㄱ은 ㅋ 되어 캐다가 됩니다. ㄱ 그대로 graben입니다.

 

22. 담그다/잠기다=tauchen[타우헌]

 

 

우리말 ㄷ의 ㅌ 이고, ein을 붙여 eintauchen을 만들어도 같은 의미입니다. 우리말로 꼭 대응시키자면 푹 담그다eintauchen입니다.

 

 

23. 덮다=decken[-]

 

종성 ㄹㆁ 이 우리말은 ㅍ 으로 남아 있고, 독어는 ck 로 남게 되는 것입니다.

 

24. 잡다/ 붙잡다=fangen[팡언]

 

ㅄㆁ에서 ㅅ 은 이고, /ㅼ 은 잡다가 됩니다. ㅂ이 바로 우리말 붙잡다이고, 독어 단어로 fangen[팡언]입니다. 영어 단어 catch 는 ㅺ에서 ㄱ/ㅋ 인 것입니다.

 

 

 

25. 수영=Schwumm[쉬붐]

 

수영(水泳)의 ㅅ-ㅇ은 원래 ㅅ-ㅂ에서 온 것인데 수영의 고어 한자음은 수병이니 곧 독어 Schwumm[쉬붐]가 거의 같은 것이고 시공간 차이를 고려 하자면 동일한 단어입니다.

 

 

26. 부러뜨리다=krachen[크라헌]

 

부수다’ ‘부러뜨리다brechen을 많이 사용하다 보니 krachen[크라헌]은 상대적으로 빈도가 낮은 단어입니다. 이것은 우리말 깨다의 ㄱ입니다. 우리말 깨다의 옛말은 ᄢᅢ다입니다. 여기서 부수다/부러뜨리다깨다가 나오는 것처럼 독어도 ㅂ에서 brechen이 되고 ㄱ에서 ㅋ의 krachen[크라헌]이 되는 것입니다. ㅲ 합용 병서에서 ㅂ과 ㄱ으로 나뉜 좋은 예입니다.

 

 

 

27. 구멍=Grube[그루버]

 

초성 ㄱ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경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