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독어(97)
-
고대 독어: 보다= vıˆtan vait[비탄 바이타]
206쪽 vıˆtan vait= sehen viteˆn =sehen sehen[제언]은 ‘보다/보이다’입니다. 우리말 ‘보다’의 ㅂ이 v 되어 고대 독어에 있었습니다. vıˆtan vait[비탄 바이타]은 ‘보고-보다’이고, viteˆn[비텐]은 우리말 ‘보다’인 것입니다. 영어 단어는 behold와 watch가 되는 것입니다.
2023.01.03 -
고대 독어: 구름=vulkana[불카나]
203쪽 vulkana= n. m. Wolke 독어 Wolke[볼케]는 ‘구름’이고, 영어 단어는 cloud이니 우리말의 ‘구름’은 ㅲ합용 병서라고 이미 밝혔습니다. vulkana[불카나]는 ㅂ 부분이 vul 이고, ㄱ 부분이 kana가 된 것입니다. 고대 독어를 참고하자면 우리말 ‘구름’은 ‘볼구름’ 이었습니다.
2023.01.03 -
고대 독어: 끓다=vellan vall[벨란-발]과 vallan vevall[벨란 베발]
202쪽 vel, val 3., vellan vall, vallan vevall= sieden sieden[지덴]의 뜻이 ‘끓다/삶다’이니 vellan vall[벨란-발]과 vallan vevall[벨란 베발]은 바로 우리말 ‘보글 보글’ 과 ‘부글-부글’정도에 해당하는 표현인 것입니다.
2023.01.03 -
고대 독어: 뿌리=vurti[불티]
200쪽 vurti= f. Wurz, Kraut, Wurzel. ‘뿌리’의 옛말 ‘불휘’와 독어 Wurzel[부르젤]은 이미 대응을 시킨 바 있습니다. 이 vurti[불티/부르티]란 단어는 우리말 ‘불휘’에서 ‘불티’ 된 것으로 완전히 같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뿌리’를 재고찰 해 보겠습니다. (tistory.com) ‘뿌리’를 재고찰 해 보겠습니다. ‘뿌리’를 재고찰 해 보겠습니다. https://ko.dict.naver.com/#/entry/koko/f6bb0d6c3bfa4923aa9831a2a0d772ea 원래 우리 옛말은 ‘불휘’로 고어 형태가 ‘-휘’로 남아 있고, 그 근원어가 ‘ᄇᆞᆶ’로 추정할 수 daesabu.tistory.com
2023.01.03 -
고대 독어: 행하다
200쪽 verk, vurkian vurhtoˆ- =wirken, tun, machen wirken[비르켄]은 ‘행하다/일하다’입니다. vurkian vurhtoˆ-[부르키안 브르흐토]인데 vurhtoˆ-가 ‘붸다/하다’이고 ‘붸하다’라고 해도 될 듯합니다.
2023.01.03 -
고대 독어: 바른/참된=veˆra[베라]/veˆria[베리아]
200쪽 veˆra, veˆria =wahr, freundlich wahr[바]는 ‘참된/진실한’ 즉 우리말 ‘바른’이고, veˆra[베라]/veˆria[베리아]도 우리말 ‘바른’에서 종성 ㄴ 만 없는 정도 있습니다. freundlich[프로인트리히]는 ‘친절한/우호적인’이니 여기서 veˆra[베라]/veˆria[베리아]는 ‘벗 (같은)’ 뜻입니다.
2023.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