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독어(97)
-
고대 독어: 바람 분다=베안 베보
191쪽 veˆ, veˆ(j)an vevoˆ =wehen 'wehen': 네이버 독일어사전 (naver.com) wehen[베언]은 ‘바람이 분다’이니 veˆ(j)an vevoˆ[베안 베보]는 우리말 ‘바람 분다’의 독일식 버전인 것입니다. 192쪽 venda= m. Wind 좀 다른 점은 venda[벤다]는 우리말에서 동사이지만, 서양어에서 명사가 된 차이점만 있습니다.
2023.01.03 -
고대 독어=만나다
moˆtian= begegnen begegnen[베게그넨]은 ‘만나다’이고, 영어 단어 meet입니다. moˆtian[모티안]은 우리말 ‘만나다’이고 영어 meet 가 된 단어입니다.
2023.01.03 -
고대 독어=멀리하다
164쪽 miþ 2., mıˆþan maiþ midum midana =meiden meiden[마이던]은 ‘피하다/멀리하다’입니다. mıˆþan maiþ midum midana[미단-마이드-미둠-미다나]인데 지금 우리 말로 하자면 ‘멀리-멀리-멀리함-멀리하다/피하다’정도가 되는 것입니다.
2023.01.03 -
고대 독어=꿀
Wörterbuch der Indogermanischen Sprachen Dritter Teil: Wortschatz der Germanischen Spracheinheit by August Fick with contributions by Hjalmar Falk, entirely revised by Alf Torp in 1909. meliþ= n. Honig Honig[호니히]는 ‘벌꿀’인데 한자어 ‘밀(蜜)’이고, 라틴어이기도 한 단어입니다. 우리말 ‘ᄢᅳᆯ’에서 meliþ[메릳]이 된 것입니다.
2023.01.03 -
고대 독어=모래
Wörterbuch der Indogermanischen Sprachen Dritter Teil: Wortschatz der Germanischen Spracheinheit by August Fick with contributions by Hjalmar Falk, entirely revised by Alf Torp in 1909. 161쪽 malma(n)= m. Sand, Erz Sand[잔트]는 ‘모래’인데 영어는 sand 이고 한자어는 ‘사(沙)’입니다. 우리말 ‘모래’의 초성 ㅁ 이 그대로 malma(n)[말마(ㄴ)]에 남아 있습니다.
2023.01.03 -
고대 독어=갈다
Wörterbuch der Indogermanischen Sprachen Dritter Teil: Wortschatz der Germanischen Spracheinheit by August Fick with contributions by Hjalmar Falk, entirely revised by Alf Torp in 1909. 161쪽 mel, malan moˆl malana =mahlen mahlen[말런]은 ‘갈다/빻다’입니다. 즉 한자어 ‘갈 마(磨)’이고, 우리말 ‘문지르다’입니다. malan moˆl malana[마란 몰 마라나]는 우리말 ‘갈다’의 ㅁㄱ 의 ㅁ입니다.
2023.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