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독어(97)
-
고대 독어=막다
Wörterbuch der Indogermanischen Sprachen Dritter Teil: Wortschatz der Germanischen Spracheinheit by August Fick with contributions by Hjalmar Falk, entirely revised by Alf Torp in 1909. 161쪽 (merz) marzjan= hindern hindern[힌데른]은 ‘방해하다’입니다. ‘막을 방(防)’이니 marzjan[말잔]은 우리말 ‘막다’ 그대로 인 것입니다.
2023.01.03 -
룬문자=점술 부호
룬문자=점술 부호 룬문자 (naver.com) 룬문자 초기 게르만민족이 1세기경부터 쓰던 특수한 문자. 룬문자의 기원에 관해서는 1세기경 게르만민족의 한 종족인 마르코만니족(族)이 도나우강 ·라인강의 상류지역에서, 그리스문자의 흐름을 받 terms.naver.com 게르만족이 점술을 했다는 사실은 아시나요?
2023.01.03 -
고대 독어=모듬과 말
Wörterbuch der Indogermanischen Sprachen Dritter Teil: Wortschatz der Germanischen Spracheinheit by August Fick with contributions by Hjalmar Falk, entirely revised by Alf Torp in 1909. 157쪽 maþla =n. Versammlung, Rede, Rechtssache, Vertrag maþla에서 þ는 지금 발음 ㄷ/d 에 가까운 발음입니다. 'Versammlung': 네이버 독일어사전 (naver.com) Versammlung[베르잠룽]은 ‘모임/집회’ 이니 maþla[마드라]는 우리말 ‘모듬/모집’인 것입니다. 157쪽 'Rede': 네이버 독일어사전 (n..
2023.01.03 -
말= marha[말하]
Wörterbuch der Indogermanischen Sprachen Dritter Teil: Wortschatz der Germanischen Spracheinheit by August Fick with contributions by Hjalmar Falk, entirely revised by Alf Torp in 1909. 160쪽 marha[말하]= m. Pferd. an. marr g. mars Pferd; ags. mearh Pferd[페르트]는 독어로 ‘말’을 뜻합니다. 이미 앞에서 고대 영어 사전에서 ‘말’을 검색해서 입증한 바 있습니다. 여기 자료로 한번 더 입증한 것입니다. 종성 ㅀ 이 rh 로 정확히 나타나 있습니다. 특히 독어는 남성, 여성, 중성이 있는데 m은 남성을 말하는 것으..
2023.01.02 -
부러뜨리다=krachen[크라헌]
부러뜨리다=krachen[크라헌] 'krachen': 네이버 독일어사전 (naver.com) ‘부수다’ ‘부러뜨리다’의 brechen을 많이 사용하다 보니 krachen[크라헌]은 상대적으로 빈도가 낮은 단어입니다. 이것은 우리말 ‘깨다’의 ㄱ입니다. '다':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우리말 ‘깨다’의 옛말은 ‘ᄢᅢ다’입니다. 여기서 ‘부수다/부러뜨리다’와 ‘깨다’가 나오는 것처럼 독어도 ㅂ에서 brechen이 되고 ㄱ에서 ㅋ의 krachen[크라헌]이 되는 것입니다. ㅲ 합용 병서에서 ㅂ과 ㄱ으로 나뉜 좋은 예입니다.
2023.01.02 -
고대 독어=반짝 반짝
Wörterbuch der Indogermanischen Sprachen Dritter Teil: Wortschatz der Germanischen Spracheinheit by August Fick with contributions by Hjalmar Falk, entirely revised by Alf Torp in 1909. 143쪽 breh, brehan brah= plötzlich aufleuchten, blinken 'blinken': 네이버 독일어사전 (naver.com) plötzlich aufleuchten[프뢰츠리히 아웊로이흐텐]은 ‘갑자기 빛나다/번쩍거리다’ 이고, blinken[브링켄]은 ‘번쩍이다/빛나다’입니다. 그러니 brehan brah[브레한 브라흐]는 바로 ‘반짝-반짝’인 ..
2023.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