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독어(97)
-
고대 독어: 칼
34쪽 knıˆba= m. Messer, Knief ‘칼’의 옛말은 ‘갏’입니다. ㄱ이 ㄱㄴ으로 늘어나고, 종성 ㅀ에서 ㅎ 부분이 ㅂ 된 것이 knıˆba[크니바]입니다.
2023.01.05 -
고대 독어: 고르다
33쪽 kus, keusan kaus kuzum kuzana =schmecken, kosten, prüfen, wählen wählen[뵈런]은 ‘고르다/선택하다’로 ‘뽑다’입니다. 우리말 ‘고르다’와 같은 ㄱ/ㅋ의 kus[쿠스]인데, 4마디로 keusan kaus kuzum kuzana [코이산-카우스-쿠줌-쿠자나]라 하는데 우리말 표현으로 ‘고른-고른-고름-고르다’ 정도 어감입니다.
2023.01.05 -
28. 집=Zimmer
28. 집=Zimmer Zimmer[짐머], 독어를 배울 때 ‘집’은 Haus[하우스], Wohnung[보눙], Nest[네스트]라고 배우고 Zimmer[짐머]는 ‘방’이라고 배우기에 ‘집’이 ‘짐머’임을 모르게 됩니다. 'Zimmer': 네이버 독일어사전 (naver.com) 사전에 보시다시피 방언에 ‘건물’을 Zimmer라고 합니다. 즉 방언에 우리말과 같은 초성을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독어 Zimmer의 –mer은 원어 Zim-에서 늘어진 부가 표현입니다. 만약 –mer[멀]도 하나의 의미로 본다면 ‘방(房)’이 됩니다. ‘집밣’에서 ㅂ이 ㅁ 되어 Zimmer[짐머]가 됩니다. 참고로 ‘보금(자리)’의 ㅂ-ㄱ이 ㅂ-ㄴ 되어 Wohnung[보눙]이 됩니다. ‘둥지’의 ㄷ이 ㄴ 되면 Nest[네스트]가..
2023.01.05 -
고대 독어: 말굽
32쪽 kutoˆn= f. Köte, Huf Huf[훞]은 ‘말굽/편자’입니다. 편자의 현재 독어는 Pferdehof[퍼어드훞]입니다. 우리말로 ‘말 + 굽’이라 하듯이 ‘명사 + 명사’ 구조입니다. 앞에서 ‘말’의 고대 노르딕어 marr[말]을 넣어 결합시키면 marrkutoˆn[말쿠톤]이 되어 거의 ‘말굽’과 같은 소리입니다.
2023.01.05 -
고대 독어: 공 구
32쪽 kuˆloˆ(n) =f. Kugel, Beule, Keule. 'Kugel': 네이버 독일어사전 (naver.com) Kugel[쿠걸]은 ‘구(球)’를 말하는데 우리말 ‘공/구르다’입니다. 우리말과 한자어, 고대 서양어가 정확히 같다는 것을 증명하는 단어입니다. 'kullern': 네이버 독일어사전 (naver.com) 그래서 현대 독어로 ‘구르다’를 kugeln[쿠걸른]/kullern[쿨런]이 되는데 우리말 ‘구르다/굴리다’ 그대로 kullern[쿨런]이 되는 것입니다. 물론 고대 독어는 gullern 이었습니다. 물론 ‘공놀이’의 공은 Ball[발]이라 하는데 ㅲ에서 분리 된 것입니다. 구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공(을) 굴리다’ Kugel[쿠걸] kugeln[쿠걸른]/kullern[쿨런] 거..
2023.01.05 -
고대 독어: 광주리
31쪽 kıˆpoˆ(n), kippoˆ(n)= f. Korb. Korb[콥]은 ‘광주리/바구니’를 말합니다. ㅴ에서 ㅂ은 ‘바구니’, ㅅ은 ‘소쿠리’, ㄱ은 ‘광주리’가 되었습니다. ㄱ에서 ㅋ 되어 kıˆpoˆ(n)[키포]와 kippoˆ(n)[키뽀]가 됩니다.
2023.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