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7243)
-
보호하다=beskytte[버시타]
보호하다=beskytte[버시타] 'beskytte': 네이버 노르웨이어사전 (naver.com) 우리말은 ‘보살피다’ 이고, ㅈ은 ‘지키다’입니다. 우리말과 한자어는 ㅂ-ㅅㆁ에서 ㅂ-ㅅ은 우리말 ‘보살붸다’에서 ‘보살피다’ 가 된 것이고, ㅂ-ㆁ에서 ㅂ-ㅎ 은 한자어 ‘보호(保護)하다’가 되고, 두 번째 ㅅㆁ에서 ㅅㅋ 된 것이 –sky-입니다. ‘-하다’의 ‘ᄠᅰ다’에서 –tte가 됩니다. 티벳어로 고어의 문자 상 བསྐྱབས བསྐྱབས སྐྱོབས [bskybs-bskybs-skyobs]라 하면 ‘보호하다’입니다. 종성을 제외하고 정확히 besky-부분이 같게 되는데, 고대 3개 초성 ㅴ에 거슬러 올라가게 됩니다. 참고: 고조선문자3, 경진출판사, 허대동
2023.01.25 -
‘구원하다/ 보호하다/ 가호하다’ 티벳어 고찰
‘구원하다/ 보호하다/ 가호하다’ 티벳어 고찰 먼저 한자어와 우리말의 대응부터 살펴야 합니다. ‘구(救)’는 ‘건지다/돕다’이니 우리말로 ‘거들다’입니다. ‘보(保)’는 ‘돕다/지키다’입니다. སྐྱོབ (བསྐྱོབ)[kyəb h/켭]=구원하다, 구호하다, 보호하다, 가호하다 문자 상 소리 표기: [skyob(bskyob)], ㅴ의 ㅄㅋ이 나타나고, ㅂ 탈락까지 나옵니다. ‘구(救)’일 경우는 ‘건지다/거들다’이고, ‘보(保)’일 경우는 ‘지키다’입니다. བསྐྱབས བསྐྱབས སྐྱོབས [bskybs-bskybs-skyobs], 초성 3개의 ㅄㅋ/bsk 가 정확히 문자로 남고, 중성이 중간에 들어간 y 이고, 종성은 ㅄ인데 원래는 ㄹㆁㆁ 의 ㆁㆁ에서 나온 ㅄ입니다. 표제 동사형 단어 종성에서는 ㅂ..
2023.01.25 -
예언은 때로는 정확하고, 때로는 애매하고, 때로는 틀린 오류를 발생시킵니다.
예언은 때로는 정확하고, 때로는 애매하고, 때로는 틀린 오류를 발생시킵니다. 정확(正確)하다=accurate, correct, exact, precise ‘바를 정(正)’이니 ㅂㆁ에서 ㅂ이 ㅍ 되어 precise가 되고, ㅲ이 ㅇㄱ 되면 accurate가 되고, ㄱ/ㅋ 만 초성에 나타난 것이 correct입니다. ㅂ이 ㅇ 의 ex 가 되면 exact인 것입니다. ‘확(確)’은 원래 ‘굳다’이니 ‘바르다라고 굳게 확신하다’라고 읽어도 됩니다. ac-cu –rate 바름-굳힘-하다 정(正)-확(確)-하다 애매하다=vague, ambiguous, uncertain, indefinite, noncommittal, equivocal 모든 단어 앞에 오는 ㅂ 의 vague[베익]이고, ‘애매하다’의 ㅇ-ㅂ/ㅁ 과 ..
2023.01.25 -
덮다=dek'ken[데켄]
덮다=dek'ken[데켄] 'dek'ken': 네이버 네덜란드어사전 (naver.com) 종성 ㄹㆁ에서 우리말은 ㆁ 이 ㅍ 된 것이고, 네덜란드어는 k 된 것입니다. 'bedek'ken': 네이버 네덜란드어사전 (naver.com) ㅂ이 원래 있었으니 bedek'ken[베데켄]이 되는 것입니다. 달리 말하자면 우리말 ‘덮다’의 태고어는 ‘ᄠᅥᇁ다’였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023.01.25 -
짓다/쓰다=dikte[딕다], skrive[스크리바]
짓다/쓰다=dikte[딕다], skrive[스크리바] 'dikte': 네이버 노르웨이어사전 (naver.com) ㅅㆁ의 ㅼ에서 우리말은 ㅈ의 ‘짓다’, 한자어도 ‘작(作)’이 됩니다. ㄷ 만 나타나 ‘dikte[딕다]’입니다. 'skrive': 네이버 노르웨이어사전 (naver.com) ㅺ 이 되면 skrive[스크리바]가 되는데 ‘쓰다’의 ㅺ과 동일 한 것입니다. 종성이 ㄹㆁ 이니 ㄼ 되어 –rive 로 나타납니다. 'beskrive': 네이버 노르웨이어사전 (naver.com) 그리고 결론적으로 태고어에 가까운 beskriva[버스크리바]가 있습니다. ㅴ 이 ㅂ-ㅅㅋ 형식으로 남은 것이고 ㅂ의 be 탈락 후 skriva가 나타난 것입니다.
2023.01.25 -
피하다=parere[파레라]
피하다=parere[파레라] 'parere': 네이버 노르웨이어사전 (naver.com) 우리말은 ‘비키다’이고 '밀래다':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평북 방언에 ‘밀래다’가 있고 한자어에 ‘피(避)하다’가 있습니다. 평북 방언 ‘밀래다’ 혹은 그 원어 ‘빌래다’에서 노르웨이어 ‘파레다/파레라’가 되는 것입니다.
2023.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