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7243)
-
보글 보글
일어에서 1) 보글 보글 '보글보글': 네이버 일본어사전 (naver.com) 일어는 4개를 제시하는데 ぶくぶく/ぐつぐつ/ ぼこぼこ/ ふつふつ에서 ぶくぶく[부쿠부쿠]와 ぼこぼこ[보코보코]는 그냥 우리말인 것입니다. 굳이 해석하자면 ‘보글보글’에서 두 번째 종성 ㄹ 이 탈락된 것이 현재 일어로서 고대 일어는 우리말 ‘보글보글’입니다. ㅂ-ㄱ이 ㅎ-ㅊ 되면 ふつふつ[후츠후츠]가 나타나게 됩니다. 2) 부들 부들/벌벌 '부들부들': 네이버 일본어사전 (naver.com) 현재 일어 단어는 ぶるぶる/わなわな/ がくがく인데 ぶるぶる[부루부루]는 우리말 ‘벌벌’이 늘어진 정도입니다. ㅂ-ㄷ 이 ㅇ-ㄴ 되면 わなわな[와나와나]가 되는 것입니다. 3) 빙글 빙글 '빙글빙글': 네이버 일본어사전 (naver.com) 현..
2023.04.02 -
‘뱀’의 영어 단어 snake/serpent/ophidian 와 독어 단어 Schlange[쉬랑러] 고찰
‘뱀’의 영어 단어 snake/serpent/ophidian 와 독어 단어 Schlange[쉬랑러] 고찰 우리말 ‘뱀’의 옛말은 ‘ᄇᆡ얌’이고 원래 고대어는 ‘ᄇᆡᆯᅌᅣᆷ’으로 추정했습니다. 여기서 우리말 ㅂ 안에 ㅅ 있으니 ‘뱀 사(蛇)’가 되고 ㅅㆁ에서 ㅻ 이 snake입니다. 추정 태고어 ‘ᄇᆡᆯᅌᅣᆷ’에도 첫 초성 ㅂ안에 ㅅ이 있고, 두 번째 초성 ㆁ은 ㅍ/p로 변할 수 있으니 바로 영어 단어 serpent가 되는 것입니다. 'ophidian': 네이버 영어사전 (naver.com) ㅄ의 변화형 ph 앞에 소리 첨가어 ㅇ를 넣게 되면 ophidian[오피-디언]이 나오게 됩니다. 'Schlange': 네이버 독일어사전 (naver.com) 독어의 경우 ㅅㆁㆁ에서 sch 가 되고, 종성 ㄹㆁ에서 –..
2023.01.26 -
‘명사/부사/형용사 + 명사/부사/형용사 + 동사형’ 구조
‘명사 + 동사’ 구조 고찰 인류의 언어가 3마디를 기준으로 2 마디에서 반복됩니다. 우리말은 ‘잠 자다’ ‘꿈 꾸다’등 대표적이고, ‘주먹 쥐다’도 그런 유형입니다. 이 2마디도 원래는 3마디였다는 것을 ‘걸음 걷다’ 의 ‘걸음 걸음 걷다’에서 충분히 알 수 있습니다. 독어는 ‘구’ 단위에서 아직도 ‘명사 + 동사(하다)’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영어는 ‘동사 + 명사’ 구조로 바뀌었습니다. 우리말 식으로 영어를 생각해 보면 이렇습니다. ‘잠 자다’는 보통 ‘sleep/go to bed’ 정도 사용하지만, sleep은 명사도 되고 동사도 됩니다. ‘잠 자다’의 영어 표현으로 ‘have a sleep’을 사용할 수 있는데 원래는 ‘a sleep have’도 가능한 표현이었습니다. 또 ‘a sleep sl..
2023.01.26 -
우리말 두번째 초성ㅇ은 곧 옛날이응/ㆁ입니다.
우리말 두번째 초성 ㅇ은 곧 옛날이응/ㆁ입니다. 한자어에서 현재 ㅇ 음가는 고대에 ㆁ 임을 많은 한자어를 통해서 확인했고, 우리말도 ㆁ 이 대다수 ㅇ 됩니다. 우리 옛말 중 특별한 단어들이 있습니다. ‘개미’의 옛말은 ‘개야미’이고, ‘뱀’의 옛말은 ‘ᄇᆡ얌’이고, ‘감 보다 작은 열매’인 ‘고욤’도 있습니다. 이 단어들의 2번째 ㅇ은 곧 거슬러 올라가면 옛날이응/ㆁ인 것입니다. 물론 마지막에는 종성에 ㄹ도 꼭 붙여야 합니다. 1) 개미-->개야미/개얌-->개ᅌᅣᆷ -->갤ᅌᅣᆷ 2) 뱀-->ᄇᆡ얌--->ᄇᆡᅌᅣᆷ -->ᄇᆡᆯᅌᅣᆷ 3) 고욤-->고ᅌᅭᆷ -->골ᅌᅭᆷ
2023.01.26 -
거룩한=hellig[할리]
거룩한=hellig[할리] 'hellig': 네이버 노르웨이어사전 (naver.com) 이것은 우리말 ‘훌륭한’이고, 영어 단어는 holy입니다. 우리말에서 ㄱ은 '거룩한'이고, ㅎ은 '훌륭한' 인 것입니다.
2023.01.25 -
ㅄ을 표현 잘한 네덜란드어
'beschou'wen': 네이버 네덜란드어사전 (naver.com) 보다=beschou'wen[베샤우벤] 보다/be 이고, 시(視)의 see의 schou입니다. wen은 바로 티벳어 문자 상 표기 ‘-붸다’이고, 우리 옛말 ‘-ᄧᅳ다’입니다. 추가)--------------------------------- 최근 밝힌 ㅄㆁㆁ 이론을 적용하면 ㅄㆁㆁ 이 ㅂㅅch 되어 나타난 단어입니다.
2023.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