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두번째 초성ㅇ은 곧 옛날이응/ㆁ입니다.
2023. 1. 26. 01:43ㆍ말글경
우리말 두번째 초성 ㅇ은 곧 옛날이응/ㆁ입니다.
한자어에서 현재 ㅇ 음가는 고대에 ㆁ 임을 많은 한자어를 통해서 확인했고, 우리말도 ㆁ 이 대다수 ㅇ 됩니다. 우리 옛말 중 특별한 단어들이 있습니다. ‘개미’의 옛말은 ‘개야미’이고, ‘뱀’의 옛말은 ‘ᄇᆡ얌’이고, ‘감 보다 작은 열매’인 ‘고욤’도 있습니다. 이 단어들의 2번째 ㅇ은 곧 거슬러 올라가면 옛날이응/ㆁ인 것입니다. 물론 마지막에는 종성에 ㄹ도 꼭 붙여야 합니다.
1) 개미-->개야미/개얌-->개ᅌᅣᆷ -->갤ᅌᅣᆷ
2) 뱀-->ᄇᆡ얌--->ᄇᆡᅌᅣᆷ -->ᄇᆡᆯᅌᅣᆷ
3) 고욤-->고ᅌᅭᆷ -->골ᅌᅭᆷ
'말글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뱀’의 영어 단어 snake/serpent/ophidian 와 독어 단어 Schlange[쉬랑러] 고찰 (0) | 2023.01.26 |
---|---|
‘명사/부사/형용사 + 명사/부사/형용사 + 동사형’ 구조 (0) | 2023.01.26 |
ㅄ을 표현 잘한 네덜란드어 (0) | 2023.01.25 |
‘구원하다/ 보호하다/ 가호하다’ 티벳어 고찰 (0) | 2023.01.25 |
‘널리’의 옛말 ‘너비/러비’를 통한 두 번째 초성 ㅂ 고찰 (0) | 2023.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