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스웨덴어(181)
-
많은=många[몽야]
많은=många[몽야] https://dict.naver.com/svkodict/#/entry/svko/9b29b7728aaf40749b6dcc920bfdd777 역시 우리말 아의 원래 음가라고 추정되는 아래 오 음가를 스웨덴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주 방언 보시면, http://www.와보랑께.kr/sa-jejudo.htm 모르다=마르다 모믈, 모몰=메밀 모인조=메조 몬독=먼지 몰=말 대부분 제주어에서 '오' 음가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먼지'의 경우 '먼-'의 고어는 '믄/ ᄆᆞᆫ' 에서 제주어 '몬'이 나오고, 다음 우리말 '먼'이 나옵니다. ㄷ 다음 ㅈ 인데, '-득/ -ᄃᆞᇂ/-ᄃᆞᆨ/-독' 에서 종성 탈락, '- 디'--->'-지 ' 가 됩니다. 제주어가 육지어보다 앞선..
2020.04.19 -
마시다=dricka[드리카], svälja [샬야]
마시다=dricka[드리카], svälja [샬야]=마시다, 삼키다 https://dict.naver.com/svkodict/#/entry/kosv/7c53f0e77938499b84e2233109ff8f6a 물을 마시다이니, 우리말이 원어임을 알 수 있습니다. ㅁㅎ에서 ㅎ 이 ㄷ 되면서 들이키다=drink, 스웨덴 dricka[드리카]가 됩니다. ㅁㅎ에서 ㅅv 되니 svälja [샬야] 즉 영어의 swallow 가 됩니다.
2020.04.18 -
먹다=> äta, spisa
먹다=äta, spisa [스피사] 먹다의 ㅁ 탈락 eat, essen(독) 이 되었습니다. 스웨덴어는 äta 인데 원래는 mäta 였습니다. 말에서 씨버리다, speak, sprechen(독) 이 되듯 먹다의 ㅁㅎ에서 ㅽ 이 되고 ᄺᅠ 의 sp- 가 됩니다. 일어 ‘타베루/타베마스’ 도 ㅂ 앞에 ㅅ 이 아닌 ㅌ 이 된 형태이고, -마스 는 제주방언의 평서문 –마씀 과 같게 됩니다. 예) 좋습니다=좋은게 마씀. http://www.와보랑께.kr/sa-jejudo.htm
2020.04.18 -
살다, 머물다=vistas [비스타스]
https://dict.naver.com/svkodict/#/entry/svko/f3ff6fc9e35c47f6863ddab1cfb9ee5e 살다, 머물다 ᄱᅠ/ ㅯ에서 ㅅ은 살다, ㅁ은 머물다 그러니 스웨덴 vistas [비스타스]는 ㅯ--->ㅄ에서 두 단어로 분리되지 않고 한단어 안에 고음을 유지한 형태입니다. 그래서 ‘살다’ 와 ‘머물다’ 의 우리말 고어는 ‘ꥱᅡᆯ다 / ᄡᅡᆯ다’ 임을 알 수 있습니다. 더 원형은 ‘ᄡᅡᆶ’ 임은 누누이 말씀 드렸습니다.
2020.04.18 -
불---->엘드 eld
불---->엘드 eld ㅂ 탈락 ㅇ ㅀ===>ㄹㄷ/ld https://dict.naver.com/svkodict/swedish/#/entry/svko/1eecfb4fb98541428a431ea22a541e47
2020.04.16 -
달--->måne[모네]
달--->måne[모나] https://dict.naver.com/svkodict/swedish/#/entry/svko/0bbed0f96a7b47a2a9813fbc0dc1fecf 옛말을 보면 ㄷ 아래 '아래 아/오' 가 붙어 있습니다. ᄃᆞᆯ https://ko.dict.naver.com/#/entry/koko/426992b0e30245afa82e894ad13ce37f 네이버 영영사전 가장 유명한 영어사전인 옥스퍼드와 콜린스 컨텐츠를 토대로 더 풍부한 뜻과 유의어, 예문을 제공. koreal.dict.naver.com 이것이 스웨덴어의 å 입니다. 스웨덴어도 라틴 발음 표시로 a 로 한 후 위에 ㅇ 를 붙였습니다. 발음은 [오]에 가깝게 납니다. ㄷㅎ 에서 ㄷ 탈락 ㅎ이 ㅁ 됩니다. ㄷ핧/ㄷ홇--->홇/..
2020.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