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군조선 한글 공동연구(428)
-
229. 딱다구리
흐 위 문자가 딱인데, 딱다구리가 나무를 쪼기 위해 고개를 뒤로 젖힌 모습입니다. 두번째가 [다], 세번째가 [구], 마지막이 [리]입니다. 두번째 [다] 모습은 딱다구리가 파낸 구멍 같습니다. 옛말: 댓뎌구리 http://krdic.daum.net/dickr/contents.do?query1=A011422300 ^^
2009.09.02 -
228. 연날리기
흐 맨 위는 연으로 ㅇ 아래 ㅣ 이 연이란 소리 및 연모양을 나타냅니다. ㄴ 에 선이 있는 것으로 [날]입니다. 부드러운 사선에 점은 [리]로서 어린이의 얼굴과 팔 모습을 나타냅니다. 아래 마지막 글은 [기]입니다. 달리기 하는 아이의 발 모습을 그렸습니다. "연날리기" 확실하지요. 연과 연꼬리는 무엇..
2009.09.02 -
227. 눈썹 ,eyebrows; brows, 眉
227. 눈썹 ,eyebrows; brows, 眉 거울이라 해석한 문자였습니다. 아래 ㅇ 는 ㄴ 음가 둘을 둥글게 결합시키고, 중간의 점은 [ㅜ]로서 "눈" 을 표현합니다. 위에 문자는 [ㄱ]음과 [ㅅ]음을 동시에 사용하며, 아래에 작은 두줄을 적어 넣어 눈썹을 표현합니다. 중간 문자는 [ㅂ]음가이지요.
2009.09.01 -
226. 국,술,죽 이 모두 조금씩 다르다.-훈민정음 제시어(죽)
226.국,술,죽이 모두 조금 다르다. 사물의 미묘한 차이를 문자 그림으로 표현하였다. 정말 놀랍다. 이전에 죽과 국은 구별하여 찾았습니다. 이제 술도 찾았습니다. 1) 걸죽한 죽을 표현합니다. 훈민정음 제시어입니다. 2) 국은 흘러내리는 모양이 조금 시원하지만 그릇 아래를 타고 내려오는 듯하고 받침..
2009.09.01 -
225. 꿈과 마구
225. 꿈과 마구 위에서부터 읽으면, "마구(馬具)【명사】 말을 부리는 데 쓰는 기구" 혹은 그냥 부사 마구이지요. 【부사】 1. 아주 심하게. 몹시 세차게. ¶ 비가 ∼ 쏟아지다. 2. 아무렇게나 함부로. ¶ 무턱대고 ∼ 지껄이다/ 쓰레기를 ∼ 버리다. [준말]막. 아래서부터 읽으면, 꿈이 됩니다. 꿈 ,a dream, 몽..
2009.08.31 -
224. 배 복(腹)
224. 배 복(腹) 이 전에 힘으로 생각했던 단어는 배 복(腹)이었습니다. 아래 문자는 [배]를 나타내는 음과 모습입니다. 위 문자는 복(腹)입니다. 추가------------- 위 문자는 "배우다, learn, 學" 의 명사형일 수있습니다. "배움"
2009.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