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군조선 한글 공동연구(428)
-
단군조선 황소와 거람 사부님 황소를 비교합니다.
흐 흐 흐 단군조선 황소와 거람 사부님 황소를 비교합니다. 1) 거람 김반석님의 한글그림으로 황소입니다. 거람 사부님, 그림 흉내 양해 해 주십시오. 2) "civil"님의 자료에 있는 "황소"입니다. 3) 제가 옆으로 방향 전환했습니다. 고조선 황소는 [황쇼]였습니다. 황소의 뿔과 눈, 힘찬 다리를 단군조선한글..
2009.09.06 -
242. 섬 도(島)이자 가슴
242. 섬 도(島)이자 가슴 섬이라고 읽은 문자는 섬 도(島)였습니다. 어느 쪽이라도 한자음까지 있는 섬 도(島)입니다. 그리고 가슴이지요. ㅅ 처럼 보이는 문자를 [ㅅ]으로 [ㄱ]을 조금 눞인 문자로도 인식을 하시면 됩니다.
2009.09.05 -
241. 가 혹은 구
241. 가 혹은 구 숫자 구(九)라고만 생각했었는데, "가, go[고], 거(去)" 로서 전 세계 공용어이지요.
2009.09.05 -
240. 신은
240. 신은 신발을 신은 모습을 나타냅니다. 맨 위 左 는 [은]이고, 아래 문자는 사람모습으로 [시] 맨 아래는 신발 모습으로 [ㄴ] 전체 모습은 사람이 신발을 신은 모습을 나타냅니다. http://blog.daum.net/daesabu/18284415 맨 아래 사진 제일 오른쪽 사진입니다. 동일하지요.^^
2009.09.05 -
훈민정음 언해본
http://test.albummania.co.kr/gallery/view.asp?seq=77713&page=107 훈민정음 언해본에는 왜 해례본의 예시 단어가 없는가? 이는 문자 신제의 그 내용만 적어둔것이고, 해례본은 단군조선의 문자를 해석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2009.09.05 -
[스크랩] 560년만에 다시 태어나는 『훈민정음 언해본』
560년만에 다시 태어나는 『훈민정음 언해본』 - 『훈민정음 언해본』 디지털 기술로 복원 『훈민정음 언해본』이 반포 560년 만에 디지털 기술로 복원되었다. 문화재청은 세종이 승하한 이후 고쳐진 『훈민정음 언해본』을 경상대학교 연구팀에 의뢰하여 반포당시 원본에 가깝게 디지털로 복원했다. ..
2009.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