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국어·훈민정음 단어 변음 법칙 (132)
-
48. 환국어 '풀 초' 고찰
48. 환국어 '풀 초' 고찰 풀 초(草) 저는 처음에 '함초롬하다'로 보았습니다. 경남 방언 '푸초'가 바로 나타나 있습니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40855800 이 표현만 보더라도 한자 '풀 초(草)' 는 우리말에서 나온 한자어입니다. 그런데 그 연유는 어떻게 된 것일까요? 이는 무당어인데, ..
2017.03.01 -
47. 환국어 '한국어 초성을 쓰지 못하고 한자어 중종성으로'
47. 환국어 '한국어 초성을 쓰지 못하고 한자어 중종성으로' 나 아, 너 여, ㄴ음가의 탈락으로 보면 됩니다. 나 아(변음 부분을 어떤 블로거가 밝혔는데, 어떤 곳인지 현재 찾을 수 없군요), 어쨌거나 날--->ㄴ 쓰지 못하고 알----->변음 일(日) ㄴ 탈락 현상으로 보아도 됩니다. 즉) 날 외에..
2017.03.01 -
46. 환국어 한국어 종성에 따른 한자어 초성
46. 환국어 고대 한국어 종성에 따른 한자어 초성 바닿, 바랗 에서 헤엄치다=====> 바다 해(海) 물을 마시다 ===============> 받침 ㄹ 이 변음된 시의 수(水) 웃음 소리=================> 받침 ㅅ 의 소리, 소(笑) 알 낳다===================> 받침 ㄹ 과 낳다, 란(卵) 이것이 환배달국의 역량이자 도..
2017.03.01 -
45. 환국어 '당기다'
45. 환국어 '당기다' 우리말은 방언들 사이에 음운 변화가 있습니다. 단어 중에도 '당기다'는 표준어들이 서로 음운 변화가 약간 있습니다. 당기다, 다그다, 땅기다 옛말은 '단기다 등' 이 있고, 방언들도 있습니다. 이렇게 우리나라 말은 우리말 안에 다양한 변음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당..
2017.02.28 -
44. 음역자 쌀
44. 음역자 쌀 http://hanja.naver.com/hanja?q=%E3%90%98 쌀 미(米)는 열매에서 나온 것입니다. 그러면 우리말 '쌀' 음가가 그대로 대응이 안됩니다. 米로 의미를 나타내고, 乙로 받침 ㄹ 을 표현해서 '쌀' 이 됩니다. 우리가 만든 한자어이자 한자인데, 우리말 '쌀'의 ㄹ 이 사라진 한자어가 다시 돌아와..
2017.02.26 -
43. 환국어 '마름 분석'
43. 환국어 '마름 분석' 마름의 옛말은 '말왐' 입니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2461800&directAnchor=s125331p80038 물 위에 뜨는 풀이니, 물은 말로 위에는 와, 풀같은 물(物)'이니 받침 ㅁ 이 됩니다. '말'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방언들이 있습니다. '능감' 이라고도 합니다. http://krdic.naver.com/deta..
2017.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