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국어·훈민정음 단어 변음 법칙 (132)
-
66. 환국어 '나 아'
66. 환국어 '나 아' 원래는 '낳' 입니다. 우리말은 ㅎ 탈락 후 '나', 한자음은 ㅎ 이 ㅇ 으로 바뀐 후 아 제가 '나 히'로 읽은 것은 제가 생각해도 정말 놀랍습니다. 너 여, 원래는 '넣' 입니다. 우리말은 ㅎ 탈락후 '너', 한자은은 ㅎ 이 ㅇ 으로 바뀐 후 여
2017.03.03 -
65. 환국어 '활 궁'
65. 환국어 '활 궁(弓)' 활의 원 말은 '홣' 입니다. 종성 ㅎ 이 꼭지 ㅇ 을 거쳐 ㄱ 으로 나타납니다. 초성 ㅎ 은 ㅇ 으로 바뀝니다.
2017.03.03 -
64. 환국어 '날 일'
64. 환국어 '날 일' 날, 하루, 하루에서 ㅎ 탈락 아루, 붙어지면서 일(日) 달, 휘영청, 원래는 닳, ㅎ 이 휘영청이되고 ㅎ 이 ㅇ 으로 바뀌면서 '월'
2017.03.03 -
63. 환국어 '소 우'의 정체
63. 드디어 소 우도 다 풀 수 있습니다. 원래 우리말은 '솧'입니다. 우리말은 '소', 한자음은 원래 '후'인데, '우'로 변음 되었습니다. 다른 ㅇ 으로 시작되는 모든 한자음이 마찬가지입니다. 곰 웅, '곻 혹은 곰ㅎ'에서 나온 우리말 '곰' , 한자음은 '훙' ---->웅 이렇게 됩니다. 소금, ..
2017.03.03 -
62. 환국어 '찧다, 쌓다'......'
62. 환국어 '찧다, 쌓다.......' 우리말 동사 아래에도 현재까지 ㅎ 이 붙어 있지요. 찧다, 쌓다 쏘다의 원어는 '쏳다' 살다의 원어는 '삻다' ....... 샇다, 상다, 사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24504600&directAnchor=s248452p366619d427859 ㅎ이 사라진 현상을 보고 있습니다. ㅎ이 자유롭게 ..
2017.03.03 -
61. 환국어 '불휘와 동히' 고찰
61. 환국어 '불휘와 동히' 고찰 불휘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8188100 현 우리말은 '뿌리' 입니다. 옛말 '불휘'에서 '휘'가 'ㅎ' 받침입니다. 아주 원어는 '붏'인데, 받침 ㅎ 이 뒤로 이동해서 '휘'가 됩니다. 그릇 동이의 옛말은 '동히' 입니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0347600 역시..
2017.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