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국어·훈민정음 단어 변음 법칙 (132)
-
음수
음수=마시다 물, 뭃에서 ㅎ을 중심으로 흠--->음 마시다에서 찾아도 동일합니다. 맣시다, 맣을 돌린 흠---->음 훈민(訓民) ㅎ 의 이치를 가르친다 가르치다 이 ㄱ 이 받침 ㄴ
2017.03.03 -
70. 환국어 '검을 흑'
70. 환국어 '검을 흑' 검다, 겋다 혹은 검ㅎ다 검ㅎ 의 ㅎ 에서 나온 흑 겋을 돌리면 '흑(黑)'
2017.03.03 -
69. 환국어 '벼루 연'
69. 환국어 '벼루 연' 옛말은 '벼로'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6638800&directAnchor=s167826p512551d570159 그 전 발음은 '벼롷' , 우리말은 ㅎ 탈락, 한자음은 '롷' 돌려 '혈'--->'현'----->ㅎ 변음 '연'
2017.03.03 -
68. 환국어 받침 ㄹ이 ㅅ 으로
68. 환국어 받침 ㄹ이 ㅅ 으로 물 마시다 , 물의 ㄹ이 시로, 한자음 수(水) 또 다른 예 나말밭=남새밭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8293900 나말에서 남으로 축음 되면, 받침 ㄹ 은 새가 됩니다. 한자음 채소의 푸성귀 소(蔬)
2017.03.03 -
옳다
옳다 ㅎ 이 들어가 있습니다. 옳다의 ㄹ 이 시(是) 바르다의 르가 시
2017.03.03 -
67. 환국어 '나무 목'
67. 환국어 '나무 목'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6618900&directAnchor=s70701p292760d343122 옛말은 '나모' 입니다. 원래는 '나뫃' 입니다. 우리말에서 '뫃둥이'---->'몽둥이' 가 되고 한자어는 '뫃'에서 'ㅎ'이 '꼭지 ㅇ 을 거쳐' 'ㄱ'에 도달하게 됩니다. 이는 우리에게서 분리된 일국인들..
2017.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