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국어·훈민정음 단어 변음 법칙 (132)
-
74. '콩의 그 증거'
74. '콩의 그 증거' 우리말 '동부'에서 나온 '두부(豆腐)'입니다. 콩을 보시면 종성이 꼭지 ㅇ 입니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8779400 콩 이름 호 http://hanja.naver.com/hanja?q=%E8%90%80 '콯' 받침에서 나온 '호' 콩 숙 http://hanja.naver.com/hanja?q=%E8%8F%BD '콯'의 ㅎ이 ㅅ 으로 변한 경우입니다. ..
2017.03.04 -
73. 환국어 'ㅎ과 ㅅ , 그리고 ㅈ'
73. 환국어 'ㅎ과 ㅅ , 그리고 ㅈ'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23024200 옛말은 '수을' 입니다. ㅎ 을 붙여 보면 '수읋' 로 예측해 봅니다. ㅎ 이 ㅅ 으로 바뀌는데, ㅅ,ㅈ,ㅊ 이 치음으로 늘 변음 가능하니 수을 수 에서 수을 주로 변음 되었다고 봅니다. 심마니어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보..
2017.03.04 -
72. 환국어 '둏을 호'
72. 환국어 '둏을 호' 아주 좋은 자료가 또 있습니다. 둏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0495600&directAnchor=s109090p69718d131100 ㄷ이 ㅈ 으로 변합니다. 둏다----->좋다 둏다의 받침 ㅎ에서 나온 '호(好)' 입니다. 물론 '흐뭇하다'라는 우리말이 있으니 의미로 접근하나 종성 ㅎ으..
2017.03.04 -
71. 환국어 'ㅎ과 ㅅ 사이'
71. 환국어 'ㅎ 과 ㅅ 사이' 먼저 우리말을 보면 '형'을 '승' 이라 합니다. 현대 중국어에서 '학생'을 '쉬에성' 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한자어 ㅅ 의 출처는 'ㄹ'뿐만 아니라 'ㅀ' 에서 나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뭃 ----->마시다 ---->음수(飮水) 산의 옛말은 '뫼' 입니다. 현..
2017.03.04 -
범 호, 나비 호접의 호
범 호(虎) 훌륭하다, 크다의 하다로 풀었습니다. 변음 관계로 보자면, '벟' '범ㅎ' 에서 나온 ㅎ 의 호 입니다. 나비 호(蝴) 역시 '나빟'의 ㅎ 에서 나온 호 그리고 활 호(弧) '홣'에서 나온 호 인데, 받침 ㅎ 에서 나와도되고, 초성 ㅎ에서 나와도 되는 것입니다. 모든 '호'가 다 마찬..
2017.03.03 -
배호다 와 학문
배호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8967500 배우다의 옛말입니다. 역시 '호'가 나오는데, 배울 학(學)입니다. 복습 더 옛말은 '뱋 다' 였을 것입니다. 뒤로 늘면서 '배호다' 가 됩니다. ----------------------------------- 좀 더 나간다면, 배호다를 돌린 학문(學文) ㅂ 변음이 ㅁ 으로 되는 경우..
2017.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