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국어·훈민정음 단어 변음 법칙 (132)
-
80. 큰 대, 클 태
80. 큰 대, 클 태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9419000 태평(太平)=대평하다 정확히 '대'라고 표기하고 있습니다. 태(太)는 처음 '대'였고, 역시 우리말 '크댄하다' 였습니다.
2017.03.20 -
79. ㅅ과 ㅎ 사이
79. ㅅ과 ㅎ 사이 신난다=흥(興) 우리말 'ㅅ' 음가는 한자어에 'ㅎ'으로 나타납니다. 즉 우리말 '승'에서 나온 '형(兄)' 크다라는 의미입니다. 성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21318000&directAnchor=s216087p364788d425820
2017.03.19 -
78. 범과 호랑이
78. 범과 호랑이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42611300 ㅂ과 ㅎ 멀리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말 ㅂ 은 일어에서 ㅎ 으로 나타납니다. 범의 첫말은 '벓' 혹은 '헗' 이었습니다. 초성은 우리말에서 ㅂ 으로, 한자어에서 ㅎ으로 분리됩니다. 혹은 우리말 '벓'의 ㅎ 이 호로 나갔다고 해..
2017.03.19 -
77. 열매에 나타난 우리 변음 법칙
77. 열매에 나타난 우리 변음 법칙 우리 옛말과 방언은 우리말의 변음을 살피는 중요 자료이고 확실한 자료입니다. 먼저 '열매'의 우리 표준 옛말은 2개입니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27073200&directAnchor=s271929p173920d231061 여름, 열매(편의상 이렇게 표기합니다.) 열매는 여름의 름에서 ..
2017.03.19 -
76. 만약 나 아가 아니라 나 농이었다면,
76. 만약 나 아가 아니라 나 농이었다면, 천자문에 나 아(我)대신, 나 농(儂)이었다면, 좀 영특한 아이들은 고개를 갸웃했을 것입니다. http://hanja.naver.com/hanja?q=%E5%84%82 이는 우리 원말 '낧/낳' 에서 우리말은 ㅎ 탈락 나이고, 한자음은 ㅎ이 ㅇ 으로 '농' , 그리고 ㅎ 은 아 가 되는 것입..
2017.03.09 -
75. 환국어 받침 ㅎ에서 ㅇ으로
75. 환국어 종성 ㅎ에서 ㅇ으로 바르고 점잖다 ======>밯젛=====> 방정(方正)
2017.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