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국어·훈민정음 단어 변음 법칙 (132)
-
42. 환국어 '종성 탈락'
42. 환국어 '종성 탈락' 우리 제주 전라도 방언에서 많은 기원 언어를 찾아 볼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경상 방언에도 중요한 현상을 찾을 수 있습니다. 무루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4058000 무릎을 무루라고 합니다. 말을 편히 하기 위해 받침 ㅍ 을 탈락시킨 것으로 누구나 알 수 있..
2017.02.26 -
41. 환국어 '도치의 미학'
41. 환국어 '도치의 미학' 환국어 중 우리 한국어와 한자어는 축음 후 도치현상이 많이 나타납니다. 그런 도치현상을 우리말에서 살피자면, 대표적으로 '심마니어' 입니다. 나무===>도치해서 무나==> 발음 편히 '무루' 무루 http://krdic.naver.com/search.nhn?query=%EB%AC%B4%EB%A3%A8&kind=all 물을 보면 ..
2017.02.26 -
40. 환국어 '인자하다'
40. 환국어 '인자하다' 먼저 우리말 '어질다' '의젓하다' '음전하다' 는 같은 의미에 변음된 우리말들입니다. 한자어 '인자(仁慈)'는 우리말의 변음임을 잘 알 수 있습니다.
2017.02.26 -
39. 환국어 '왜가리 미와 물가 미'
39. 환국어 '왜가리 미와 물가 미' 왜가리는 물가에 주로 활동 합니다. http://hanja.naver.com/hanja?q=%E6%B9%84 물가=물의 변음 미 끄트미=미 물가 미 여기서 생활하는 왜가리이니 왜가리 미 http://hanja.naver.com/hanja?q=%E9%B6%A5 1) 왜가리, 물가의 변음 미 혹은 두루미의 미 2) 재두루미, 미가 그대로 나옵니..
2017.02.25 -
38. 환국어 '불과 달'
38. 환국어 '불과 달' 불은 분명 우리말입니다. 불을 심마니들은 '달' 이라 불렀습니다. 하늘의 불은 '해 달 별' 인데, 우리말 '달'로 들어 왔습니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8739200&directAnchor=s89040p422400d491727 즉 우리 고대 구석기 언어, 혹은 신석기 고산지대 언어도 의미가 변화되어 땅..
2017.02.22 -
37. 환국어 '물고기 어' 고찰
37. 물고기 어(魚) 의미로 접근해서 '아가미' 의 '아'로서 보았습니다. 우리말로는 '고등어'의 '어'에서 나온 한자어라고 고찰했습니다. 한걸음 더 가 보겠습니다. '에러'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26429700&directAnchor=s267584p171029d227252 에러에서 나온 '어류(魚類)' 라고 본다면, 특이점이 하나..
2017.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