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환국어 '마름 분석'
2017. 2. 26. 19:55ㆍ환국어·훈민정음 단어 변음 법칙
43. 환국어 '마름 분석'
마름의 옛말은 '말왐' 입니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2461800&directAnchor=s125331p80038
물 위에 뜨는 풀이니, 물은 말로 위에는 와, 풀같은 물(物)'이니 받침 ㅁ 이 됩니다.
'말'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방언들이 있습니다.
'능감' 이라고도 합니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8181800&directAnchor=s485214p54316d122805
말왐이 스스로 변하면서 ㄹ이 다음 왐에 영향을 주고 또 능감에 영향을 받아 '마름' 이 됩니다.
이제 한자어를 보겠습니다.
마름 릉(능)
http://hanja.naver.com/hanja?q=%E8%8F%B1
마름 능(릉)
http://hanja.naver.com/hanja?q=%EF%A5%98
분명히 우리말 '마름' 에서 나온 한자어 '릉(능)' 임을 알 수 있습니다.
마름 조
http://hanja.naver.com/hanja?q=%E8%97%BB
사전에 안 보입니다. 졸(수초)의 조.
아마도 우리말 줄 부추의 졸과 관련 있어 보입니다.
이렇게 식물의 이름조차 거의 같은 것이 한국어와 한자어입니다.
'환국어·훈민정음 단어 변음 법칙 ' 카테고리의 다른 글
45. 환국어 '당기다' (0) | 2017.02.28 |
---|---|
44. 음역자 쌀 (0) | 2017.02.26 |
42. 환국어 '종성 탈락' (0) | 2017.02.26 |
41. 환국어 '도치의 미학' (0) | 2017.02.26 |
40. 환국어 '인자하다' (0) | 2017.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