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 음역자 쌀
2017. 2. 26. 21:17ㆍ환국어·훈민정음 단어 변음 법칙
44. 음역자 쌀
http://hanja.naver.com/hanja?q=%E3%90%98
쌀 미(米)는 열매에서 나온 것입니다.
그러면 우리말 '쌀' 음가가 그대로 대응이 안됩니다.
米로 의미를 나타내고, 乙로 받침 ㄹ 을 표현해서 '쌀' 이 됩니다.
우리가 만든 한자어이자 한자인데,
우리말 '쌀'의 ㄹ 이 사라진 한자어가
다시 돌아와 ㄹ 을 붙이게 된 것입니다.
일 석, 일다는 '먹을 알을 고른다'는 것입니다.
http://hanja.naver.com/hanja?q=%E6%B7%85
씻다와 쌀의 변음 석
쌀 변
http://hanja.naver.com/hanja?q=%E7%B3%84
쌀은 '벼' 이고 떡이니 '편'이니
벼와 폄의 '쌀 변'
하늘 아래
진실된 학문은 영원합니다.
'환국어·훈민정음 단어 변음 법칙 ' 카테고리의 다른 글
46. 환국어 한국어 종성에 따른 한자어 초성 (0) | 2017.03.01 |
---|---|
45. 환국어 '당기다' (0) | 2017.02.28 |
43. 환국어 '마름 분석' (0) | 2017.02.26 |
42. 환국어 '종성 탈락' (0) | 2017.02.26 |
41. 환국어 '도치의 미학' (0) | 2017.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