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음과 중일 변화형(17)
-
11. 정음과 중일변화음 연구-태
11. 정음과 중일변화음 연구-태 1) 역시 우리 한국어 중성 “ㅐ” 가 풀어져 ㅏ 와 ㅣ 가 되는 경우입니다. 태는 중어에서 풀어져 [타이(tai)]입니다. 일어 한자음에서도 풀어져 [타이] 가 됩니다. 2) 태고(太古)는 [타이 코]たいこ。ancient time --> 태는 타이, 우리 ㅗ는 일어에서 그대로 ㅗ, 그래서 고는 코 ..
2006.12.21 -
10. 정음과 중일변화음 연구-래
10. 정음과 중일변화음 연구-래 1) 역시 우리 한국어 중성 “ㅐ” 가 풀어져 ㅏ 와 ㅣ 가 되는 경우입니다. 래(來)는 중어에서 풀어져 [라이(lai)]입니다. 일어 한자음에서도 풀어져 [라이] 가 됩니다. 2) 래년(來年)은 [라이 넨] らいねん。 next year --> 래는 라이, 년은 넨 래방(來訪)은 [라이 호우] らいほう..
2006.12.21 -
9. 정음과 중일변화음 연구-채
9. 정음과 중일변화음 연구-채 1) 역시 우리 한국어 중성 “ㅐ” 가 풀어져 ㅏ 와 ㅣ 가 되는 경우입니다. 채(菜, 彩 , 採)는 중어에서 풀어져 [차이(cai)]입니다. 우리 한자음과 중국어의 차이. 역시 순 우리말 소리이지요. 일어 한자음에서는 모두 풀어져 [사이] 가 됩니다. 이것은 앞에서 했던 우리말 “세..
2006.12.18 -
8. 정음과 중일변화음 연구-세
8. 정음과 중일변화음 연구-세 1) 역시 우리 한국어 중성 “ㅔ” 가 풀어져 ㅏ 와 ㅣ 가 되는 경우입니다. 세(細)는 중어에서 축소되어 [시(xi)]입니다. 일어 한자음에서는 풀어져[ 사이] 가 됩니다. 世[세][세이] 洗[셍]으로 소리 나는 한자도 있습니다. 2) 세공(細工)은 [사이 쿠] さい く --> 공은 “쿠” ..
2006.12.06 -
7. 정음과 중일변화음 연구-배
7. 정음과 중일변화음 연구-배 1) 역시 우리 한국어 중성 “ㅐ” 가 풀어져 ㅏ 와 ㅣ 가 되는 경우입니다. 배(培,陪,賠)는 중어에서 거의 그대로 풀어져 [페이(pei)]가 됩니다. 그 외 배(倍)은 그대로 [베이(bei)] 일어 한자음에서는 풀어져[ 바이] 가 됩니다. [하이]로 소리 나는 것도 있으나, [바이]만 선택합..
2006.12.04 -
6. 정음과 중일변화음 연구-내(內)
6. 정음과 중일변화음 연구-내(內) 1) 역시 우리 한국어 중성 “ㅐ” 가 풀어져 ㅏ 와 ㅣ 가 되는 경우입니다. 안 내 (內)는 중어에서 그대로 풀어져 [네이(nei)]가 됩니다. 정확히 풀어지면, [나이]이지만, 중어에서는 [네이]가 됩니다. 일어 한자음에서는 풀어져[ 나이] 가 됩니다. 2) 내각(內閣)은 [나이카쿠..
2006.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