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 11. 28. 21:12ㆍ정음과 중일 변화형
6. 정음과 중일변화음 연구-내(內)
1) 역시 우리 한국어 중성 “ㅐ” 가 풀어져 ㅏ 와 ㅣ 가 되는 경우입니다.
안 내 (內)는 중어에서 그대로 풀어져 [네이(nei)]가 됩니다.
정확히 풀어지면, [나이]이지만, 중어에서는 [네이]가 됩니다.
일어 한자음에서는 풀어져[ 나이] 가 됩니다.
2) 내각(內閣)은 [나이카쿠]
--> 각은 풀어져 [카쿠]
내과의(內科醫)는 [나이카이]
--> 우리말 그대로이지요.
내규(內規)는 [나이키]ないき。
「─를 지키다:内規を守(まも)る」[나이키오 마모루]
--> 옛날 나이키 신발 있었지요.
내실(內實)은 [나이지츠]ないじつ
--> 시는 지. ㄹ은 언제나처럼 츠.
내심(內心)은 [나이심]ないしん。
내외(內外)는 [나이가이]
--> 이렇게 짝을 맞춰 외우니 금방이지요. 우리말이기도 하지요. 나이 가이.
내정(內政)은 [나이세이]ないせい。
--> 그래서 정치(政治)는 [세이지]せいじ, 우리말이지요. 정치하는 세이지.
3)내각(內閣)은 [네이 꺼(ge)]
내과의(內科醫)는 [네이 커(ke) 이(yi)]
내규(內規)는 [네이 꾸이(gui)]
내실(內實)은 [네이 쓰(shi)]
내심(內心)은 [네이 신(xin)]
내외(內外)는 [네이 와이(wai)]
내정(內政)은 [네이 정(zheng)]
4) 내각(內閣)은 a cabinet; the Ministry 「영」; the government (정부);
the administration 「미」.
내과의(內科醫)는 『내과』 a physician
; 『외과』 a surgeon; 『전문의』 a specialist; 『일반 개업의』 a general practitioner;
내규(內規)는『회사 등의』 bylaws 「미」; 『단체 내의』 private rules [regulati
ons].
┈┈• ∼를 위반하다 violate the bylaw
내실(內實)은 substance; substantiality.
내심(內心)은 『마음 속』 one’s inmost heart; 『진의』 one’s real intention;
one’s mind; 〖수학〗the inner center.
내외(內外)는 ①『안과 밖』 the inside and outside.
③『약』 around; about; some; or so.
┈┈• ∼의 internal and external; home [domestic] and foreign 「af-fairs」①
내정(內政)은 domestic [home] administration; internal affairs.
┈┈• ∼ 에 간섭하다 interfere [intervene] in the domestic [internal] affairs 「of a nation」.
# 저랑 공부하니 4국어가 너무 쉽지요.
공부란 4국 사람들 간의 약속을 잘 이해하는 것입니다.
'정음과 중일 변화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8. 정음과 중일변화음 연구-세 (0) | 2006.12.06 |
---|---|
7. 정음과 중일변화음 연구-배 (0) | 2006.12.04 |
5. 정음과 중일변화음 연구-대(大) (0) | 2006.11.27 |
4. 정음과 중일변화음 연구-매매(賣買) (0) | 2006.11.26 |
3. 정음과 중일변화음 연구-개(開) (0) | 2006.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