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 11. 25. 10:50ㆍ정음과 중일 변화형
3. 정음과 중일변화음 연구-개(開)
1) 역시 우리 한국어 중성 “ㅐ” 가 풀어져 ㅏ 와 ㅣ 가 되는 경우입니다.
열 개(開)는 중일어에서 그대로 풀어져 [카이]가 됩니다.
그래서 중어로 나 문 연다는 “ 나/연다/ 문” 이 되어
[워 카이 먼] 我 開 門 이 됩니다.
일어에서 문(門)은 [몽]もん, 혹은 [도아]
열다는 [아케루] あ(開)ける 입니다.
열리다는 [아쿠]あ(開)く
2) 개국(開國)의 일어는 [카이코쿠]
--> 일어는 우리 하나의 음을 늘려 두음으로 만들면 됩니다.
개발(開發) 의 일어는 [카이하츠]かいはつ。
--> 우리음 바는 하로 , 받침 ㄹ 은 츠로
개장(開場)은 일어에서 [카이죠우]かいじょう。
---> 장은 죠우 인데 , 줄어들면 죠.
개화(開花)는 일어에서 [카이카]かいか
---> 화는 카.
개회(開會)[開会]는 일어에서 [카이카이] かいかい。
---> 개회는 카이를 두법 겹치면 됩니다.
3) 開國의 중어는 [카이 궈 guo]
開發의 중어는 [카이 파(fa)]--> 발에서 ㄹ 받침 탈락
開場의 중어는 [카이 창 (chang)]
開花의 중어는 [카이 화]
開會의 중어는 [카이 후이(hui)]
# 위 일중어의 [카이]를 보면, 일어인지 중어인지 구별이 안되지요.
그러니 우리 한국한자음이 기준음이라 카이.
어때요? 우리말 지역어 끝말에도 “-카이” 가 있지요.
4) 개국 (開國)
『건국』 the founding [foundation] of a country [state];
『개방』 the opening of the country.
∼하다 found a country; establish a state; open the country (to the world).
개발(開發)
『개척』 development; exploitation (자원의); cultivation (재능의).
∼하다 develop; exploit; cultivate.
개장(開場)
『엶』 opening. ∼하다 open 「a place」; open (the doors).
┈┈• ∼중이다 be open/오후 5시 ∼ 『게시』 Doors open at 5 p.m.
개화(開花)
blooming; flowering; efflorescence.
∼하다 (come into) bloom; effloresce.
♣ ∼기 the flowering season.
┈┈• ∼되어 있다 be in flower [bloom]
개회(開會)
the opening of a meeting [session].
∼하다 open the meeting; begin 「its」 session.
♣ ∼사 「give, deliver」 an opening address [speech].
♣ ∼ 식 the opening ceremony.
♣ ∼일 the opening day.
┈┈• ∼중이다 be open [in session]
┈┈• ∼를 선언하다 announce [declare] 「the meeting」 open;
call 「the meeting」 to order 「미」
# 저랑 공부하니 한일영중 4개 국어가 식은 죽 먹기이지요.
이렇게 공부란 4국 사람간의 약속을 잘 이해하는 것입니다.
'정음과 중일 변화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정음과 중일변화음 연구-내(內) (0) | 2006.11.28 |
---|---|
5. 정음과 중일변화음 연구-대(大) (0) | 2006.11.27 |
4. 정음과 중일변화음 연구-매매(賣買) (0) | 2006.11.26 |
2. 정음과 중일변화음 연구-재(在) (0) | 2006.11.23 |
1. 정음과 변화음 연구-애(愛) (0) | 2006.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