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합ᄌᆞ=합(盒), 놋그ᄅᆞᆺ/퉁그ᄅᆞᆻ=놋그릇

2022. 8. 31. 16:13우리 옛말 공부

면합ᄌᆞ=(), 놋그ᄅᆞᆺ/퉁그ᄅᆞᆻ=놋그릇

'면합':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이 무슨 그릇인가부터 살펴보겠습니다.

 

'합':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음식을 담는 놋그릇의 하나. 그리 높지 않고 둥글넓적하며 뚜껑이 있다. 큰 합, 작은 합, 중합, 알합 따위가 있다.>>

 

은 그릇의 하나인데 우리말 면합ᄌᆞ에서 탈락 후 만 남은 것이 이란 한자어라 보는 것이고, ‘놋그릇의 원조가 고대 한국임을 알 수 있는 단어이기도 합니다. 이는 놋그릇의 옛말로 한번 더 입증이 가능한데 놋그릇의 옛말은 퉁그ᄅᆞᆻ이라 해서 종성 ㅆ이 우리 고유어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이란 구리의 ㄱ의 ㄴ이고, ㄷ이 한자어 ()’임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을 좀 더 자세히 고찰해 보겠습니다.

'놋':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 구리에 아연을 10~45% 넣어 만든 합금. 가공하기 쉽고 녹슬지 않아 공업 재료로 널리 쓴다.>>

 

놋그릇유기(鍮器)그릇이라 하니 ㅂㄴ 초성이 생략 후 ㅇ 되어 나타난 한자어입니다. 영어 단어로는 brassware인데 brass놋쇠/황동입니다. 일어로 그릇うつわ/[우츠와]라 하는 것은 ㅁ-ㄱ이 ㅇ-ㅊ 된 것입니다. ‘유기를 일어식으로는 しんちゅう/眞鍮[싱쥬우]라 하니 놋그릇しんちゅう うつわ[싱쥬우 우츠와]가 되는 것입니다. 독일어 단어로 놋그릇Kụpfergeschirr[쿠퍼게쉬르]라고 하는데 Kupfer는 영어 단어 copper에 해당하니 우리말 구리입니다. Geschirr그릇의 독일어 단어입니다.

 

구리이란 우리 고유어가 분명히 남아 있으니 고대 구리를 이용한 도구의 생산도 역시 고대 한국에서 시작되었을 것이라 추론합니다.

 

. 물론 한자어 ()’도 ㄱ에 상대하는 ㄷ으로 우리말 구리와 같은 어원이었을 것이고, ‘구부리다란 우리말이 있으니 여기서 구리 동()’이 기원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