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끈따끈/ 뜨끈드끈 따뜻하다, 따사롭다, 포근하다 =온난(溫暖)하다, 온화(溫和)하다, 그리고 티벳어 비교 고찰

2021. 11. 11. 05:58우리 옛말 공부

따끈따끈/ 뜨끈드끈 따뜻하다, 따사롭다, 포근하다 =온난(溫暖)하다, 온화(溫和)하다, 그리고 티벳어 비교 고찰

 

 

https://ko.dict.naver.com/#/entry/koko/c19581ba47384e81afe45fd574f23fe6

  먼저 따뜻하다의 옛말은 ᄯᆞᆺᄯᆞᆺᄒᆞ다입니다. 그래서 방언에 따시다/뜨시다가 나오는 것입니다.

https://ko.dict.naver.com/#/entry/koko/8d686fa481a14a50a946fb65e9de7c06

그리고 동의 표준어 따사롭다가 되는 것입니다. ㅵ에서 ㅇ 되면 이고 ㅺ/ㅼ에서 ㄱ/ㄷ이 ㄴ 되면 이 됩니다. 두 번째 ㅂ이 ㅎ 되면, ‘온화(溫和)하다가 됩니다. ㅂ이 ㅍ 되면, ‘포근하다가 됩니다. ㅂ에서 w 되면, warm 이고, ㅁ되면 mild 가 됩니다.

 

이제 티벳어를 보겠습니다.

 

<<티베트어-한글 사전, 전재성 편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527>>

དྲོ [dov/ v ] [ དྲོ དྲོས ]= 덥다, 따뜻하다, 온화하다

 문자 상 발음은 ‘dro/ᅞᅩ입니다. 종성 ㄹ 이 ㄷ 에 달라 붙었으나 크게 차이는 없습니다. 우리말 덥다의 종성 ㅂ 에 보듯이 ㄼ에서 갈라졌습니다. 현재 발음에도 고어의 흔적 종성 v 이 붙어 있습니다. 우리말 덥다의 원 뿌리 그대로 현재 티벳어 'dov' 으로 남아 있는 것입니다.

དྲོ་ སྐྱིད [du v kyi h] =행복하다, 따뜻하다

문자 상 발음은 ‘dro skyida/ ᅞᅩ ᄸᅱ다인데 우리말 따시다가 그대로 되는 고어입니다.

 

དྲོ་ སོབ་ སོབ [dov sob f so h] =뜨거운 모양, 따끈따끈, 뜨끈뜨끈

  문자상 발음은 ‘dro sob sob/ ᅞᅩ 솝 솝인데 우리말로 옮기면, ‘덥다/ ᄯᆞᆸ ᄯᆞᆸ(따뜻)’이고 우리말 어순에 맞추면, ‘따뜻(따뜻) 덥다가 되는 것입니다. 티벳 문자 ‘sob/은 우리말 ᄯᆞᆸ/ᄯᆞᆺ의 ㅅ 만 나타나고 종성은 ㄼ 중 ㅂ 만 나타난 표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