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들부들 떨다/와들와들 떨다 , 그리고 티벳어 비교 고찰=인류 공용어 완벽 입증 자료

2021. 11. 11. 00:17우리 옛말 공부

 

 

<<티베트어-한글 사전, 전재성 편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540>>

 

འདར [darv/ v]=떨다, 덜덜 떨다, 부들부들 떨다, 와들와들 떨다

문자상 발음은 ‘adar/ 아들인데 우리말 와들그대로이고 ㅇ 탈락 후 로만 현 티벳어에 소리 납니다. 즉 우리말 떨다와 같은 ㄷ 초성이 된 것입니다.

 

འདར་ ཁྲུག་ ཁྲུག [darv thug f thuh / 달 툭 투ㅎ]=부들부들, 와들와들, 떠는 모양

문자 상 발음은 ‘adar khrug khrug/ 아달 ㅋ룩 ㅋ룩인데 kh th처럼 소리나게 됩니다.

https://ko.dict.naver.com/#/entry/koko/8d48c015efb34b3cac891130cbd74ad9

우리말로 말하자면, ‘와들 덜덜에서 ㄷ이 ㅌ 되어 와들 떨떨이 되는 것입니다.

 

འདར་ འཁྲུག་ འཁྲུག [ darv thug f thuh / 달 툭 투ㅎ]=부들부들, 와들와들, 떠는 모양

  이 표현이 중요한데 제가 이미 제시한 3마디의 의태어가 담겨있기 때문입니다. 문자상 표기는 ‘adar akhrug akhrug/ 아달 아크룩 아크룩이고 현재 우리말로 소리를 내어보면, ‘와들 와떨 와떨정도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말은 와들 와들 떨다가 되는 것입니다. 떨다란 동사형 འདར [darv/ v]이 앞에 있으니, 이 표현을 우리말에 대입하면 떨다 부들부들/와들와들이 되는 것입니다. 동사가 부사 앞에 있으니 바로 서양제어의 어순입니다.

 

 

다음 541쪽입니다.

འདར་ སིག[ dərv sih/ v h]=부들부들 떪

명사형입니다. 문자 상 와들부분이 부들부들/와들와들이고 이란 명사형은 ㅼ 이었으니 ㅅ 이 남아서 이란 문자상 발음이 되는 것입니다.

 

འདར་ སིག་ རྒྱག[ dərv sih gyaw/ v h ]=떨다, 부들부들 떨디

위 명사형이 동사형이 된 것인데 문자상 발음 ‘rgyag/ ㄹ객이 동사형을 만듭니다. 원래는 ㅴ에서 rㄱ 되었다고 보는 ᄃᅺᆼ사형 어미입니다.

 

འདརལ སིག་ སིག [dar v sig f si h/ v f h ]=떠는 모양, 부들부들 떠는 모양

여기서는 와들(와들)’ 다음에 떨다의 ㅼ 의 ㅅ 이 나타나서 의태어를 만들고 있습니다.

 여기서 ㅵ ㅵ ㅵ 3개 마디의 의태어 표현 방식이 그대로 일치한다는 것을 확인했고-비록 동사형은 앞에 있지만- 이는 인류 고대 공용어 추정 조어법 거의 그대로 남아 있는 입증 자료입니다.

 

 

 

 

 

이전 공부 -------------------------------------------------------------

복습입니다.

 

두려워 부들부들 떨다

 

부들부들을 참조하면, ‘떨다의 원어는 ᄠᅥᆯ다일 것입니다. 실제로 사전을 검색하면 ᄠᅥᆯ다가 정확히 나옵니다.

https://ko.dict.naver.com/#/entry/koko/1ed955f774bc43c49a8620d40c8ab07a

더 놀라운 것은 15C~17C 에는 ᄠᅥᆯ다였다가 17C~19C ᄯᅥᆯ다였다는 것입니다. 지금까지 ㅄ 의 분리라고 본 것도 좀 쉽게 생각해보면 ㅂ이 ㅅ 된다는 것입니다. 물 수’ ‘뫼 산’ ‘마음 심’ ‘몸 신’ ‘믿을 신등의 경우 ㅄ 분리라고 보아도 되지만 우리말 ㅂ/ㅁ 이 ㅅ 되었다고 해도 되는 것입니다. 그러면 우리말이 한자어보다 앞선다는 것을 더 잘 알 수 있습니다.

두렵다떨다앞에 ㅂ 있다는 것은 부들부들이 입증합니다.

ㅅ에서 shake, /ㅌ에서 tremble, ㅂ이 v 되어 vibrate 가 됩니다.

그리고 떨다흔들리다이니, ‘븐들븐들에서 흔들흔들이 되었다고 보는 것입니다. ‘후들후들이라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ㅂ이 ㅁ 되면, ‘무섭다가 되고 ㄷ은 두렵다가 되고 ㅅ/ㅅㄷ 은 섬뜩하다가 되고 ㄱ 은 한자어 ()나다가 되는 것입니다.

여기서 부들부들의 ㅂ 이 ㅇ 되면 와들와들이 됩니다. ‘바글바글와글와글되는 현상과 같습니다. 그런 두려운 상태를 아슬아슬이라고도 하는데, ‘바슬바슬에서 나온 표현입니다.

 

----------------------------------

 

참고와 비교

https://ko.dict.naver.com/#/userEntry/koko/7f7ab851bbfb347dc777869d4b682a2b

어원생각님 , 공부 수준은 상당히 높습니다...

 

그러나 이 단어는

상당히 제 공부와 다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