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듭=결(結), 티벳어 비교 고찰
2021. 11. 10. 23:11ㆍ우리 옛말 공부
매듭=결(結), 티벳어 비교 고찰
‘매듭’의 옛말은 ‘ᄆᆡᄃᆞᆸ/ ᄆᆡᄌᆞᆸ’입니다. ‘맺다’와 ‘묶다’라는 동사로도 나타납니다. 매듭의 영어는 knot 인데, ‘결’의 ㄱ 의 ㅋ 인 것입니다. ‘매듭’과 동의어로 ‘마무리’가 있고 한자어로 ‘말(末)’이 되니 ‘끝마무리’는 ‘결말(結末)’로 나타납니다.
ㅁㄷ 이 ‘매듭’으로 나타난 우리말인데, 티벳어도 마찬가지입니다.
<<티베트어-한글 사전, 전재성 편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535쪽>>
མདུད (འདྲུད) པ [dü v p ə f / 뒤 v 퍼 f ]=(선, 끈, 밧줄 등의) 매듭
문자 상 발음은 ‘mdud (adrud) pə / ꥰᅮᆮ(ᅂᅮᆮ) 프’ 인데 ㅁ 이 ㅇ 되고 결국 발음은 사라진 현 티벳어입니다. 종성 ㄼ 은 ㄷㅍ 형태로 나타나게 됩니다. 여기서 문자상 ㅁㄷ 부분이 바로 ‘매듭’의 ‘매드’까지 이고 종성 ㄼ에서 ㄹ 탈락 후 ㅂ 이 ㅍ 됩니다. 결론 적으로 문자상 발음은 우리말 ‘ᄆᆡᄃᆞᆸ’ 이 살짝 변음된 정도 이고 ㅁㄷ에서 ㅁ 탈락 후 현 발음이 ㄷ 으로 남은 티벳어입니다.
영어 단어는 ‘묶다’의 ㅁ은 원래 ㅂ 이었으니 bind 가 되고, ㅼ에서 st 되어 string 이 되고,ㄷ이 ㅌ 되어 tie 가 되고, ‘결(結)’은 gird 가 됩니다.
여기서도 우리말이 문자상으로 티벳어에 거의 그대로 남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 옛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탁탁 두드리다, 탁탁 치다, 그리고 티벳어 비교 고찰 =고대 공용어 입증 자료 (0) | 2021.11.11 |
---|---|
부들부들 떨다/와들와들 떨다 , 그리고 티벳어 비교 고찰=인류 공용어 완벽 입증 자료 (0) | 2021.11.11 |
얼굴 면(面), 그리고 티벳어 비교 고찰 (0) | 2021.11.10 |
쓰르렁이=쓰르라미 (0) | 2021.11.10 |
몰다/운반하다, 맛있는, 그리고 티벳어 비교 고찰 (0) | 2021.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