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수도 화폐문 연구(641)
-
제명도(齊明刀) 고찰
제명도(齊明刀) 고찰 제명도는 중국 학자들의 주장에 의하면, 전국후기(戰國後期)에 만들었고, 흔히 박산도(博山刀)라고 하기도 합니다. 오른쪽 문양을 明이라 보고, 주로 제나라 영역에 나오니 제명도라고 한다 합니다. 먼저 양식을 보겠습니다. 제지법화(齊之法貨)란 분명한 도전 양식이 하나 있는데..
2010.01.19 -
앞면은 절묵지법화(節墨之法貨)
앞면은 절묵지법화(節墨之法貨) 출처: 중국고전대집, 표지 사진 중 앞면은 절묵지법화(節墨之法貨), 뒷면은 안방(安邦)입니다. 현재 제나라 화폐 중의 하나인데, 여기서 절묵은 흔히 말하는 고죽국 나라입니다. 원래 고죽국의 국호는 절개있는 나라 節이 정식 국호입니다. 다음 墨은 묵태씨라는 고죽국 ..
2010.01.19 -
[ㅂ]음가 정리
[ㅂ]음가는 지금의 "U" 입니다.
2010.01.19 -
첨수도 "소"에 관한 생각
첨수도 "소"에 관한 생각 이제 "ㅅ" 에 관해 생각해 봅니다. 1) ㅅ 아래 선이 ㅡ 가 있는 A 는 [소]小 라고 읽을 수 있습니다. 혹은 [시]의 단음으로도 읽을 수 있습니다. 2) ㅅ 아래 선이 두 개라면 [쇼]라고 읽을 수 있고, 실제로 고조선한글 "소"로서 [쇼]라 발음하고 Cattle 을 나타냅니다. 즉 고조선한글 "소"..
2010.01.16 -
한과 학
첨수도 한(韓)에 관한 생각 이 모습이 韓이라고 누구나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저는 처음에 상형 한자라고 생각했습니다. 이는 한(韓)을 소리나는 대로 표기하면서 상형한자에 맞춘 것이고, 우리 민족의 존재를 표현 했다고 봅니다.
2010.01.16 -
첨수도 a [아, a]에서 그리스 영어로마자 a
첨수도 a [아, a]에서 그리스 영어로마자 a 1) 맨 처음 ㅇ 은 [ㅇ]음의 근본 음입니다. 오른쪽에 선을 하나 붙이면, a 소문자인데, [ㅏ]음을 분명하게 붙여라는 뜻입니다. 다음 문자는 첨수도에 a [아]라고 나옵니다. 여기까지에다가 "C과 ʃ" 을 붙이면 [들]인데, 아들이란 사람 얼굴로 그 상형하고자 하는 모..
2010.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