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수도 화폐문 연구(641)
-
자모전 잔과팔, 해도전 잔과 팔
자모전 잔과팔, 해도전 잔과 팔 이전에 이미 제가 "잔"과 "팔(신체)"을 읽었습니다. 1) 중국고전대집,86쪽에 나오는 중국학자들이 해석 못하고, 符號(부호) 라고만 적어 두었습니다. 정말 잔의 모습을 한 고조선 상형문입니다. 여기서 비스듬한 J 가 [ㅈ] 발음을 표현합니다. 아래 ㅣ 은 [아]음을 표현 합니..
2010.01.20 -
첨수도활과화살
첨수도활과화살 이번에는 자모전(첨수도) 활과 화살을 보여드립니다. 처음에는 韓으로 읽었습니다. 이는 아주 틀리지 않은 것으로 우리 한민족이 활을 잘 쏘기에 상형한자에 맞추신 것입니다. 이제 이를 가지고 실제 활과 화살 그림소리문자로 만드십니다. [ㅎ] 음가를 가지고, 활 쏘는 사람의 모습을 ..
2010.01.20 -
"불fire" 을 찾아봅니다.
"불fire" 을 찾아봅니다. [ㅂ]음가에 해당되는 근본 문자는 U입니다. 이 문자는 역시 [ㅂ] 소리의 일종인데, 약간 위로 기운이 피어나는 소리에 이 모양새를 대응시킨 듯 합니다. 1) 기본문자에, ㅣ 첨가된 문자는 [바][비][보][부]에 해당한다고 봅니다. 다음 ㅗ 가 들어간 문자는 [뵤]혹은 [블]이라 볼 수 있..
2010.01.20 -
[ㅅ]음가의 이해
[ㅅ]음가의 이해 ㅅ 모양새는 환국밝달배달시대부터 있었습니다. ㅅ은 [ㅅ,s] 음에 고정 시켰습니다. 1) 个는 [사]와 [시]음가입니다. 个안에 점이 있다면, [쇼]로 읽거나 받침을 넣어 [산][삼][상]정도로 읽을 수 있습니다. 동시에 다중의 음가를 표현했을 수 있습니다. 2) ㅅ 아래 = 은 [살][술][솔]로 읽을 수..
2010.01.20 -
[야]소리 표현
[야]소리 표현 앞에서 읽어면 [이아]입니다. 혹은 ㅣㅏ에서 ㅏ의 ㅣ 은 [아]이고 ㅡ 을 겹치면 장음 [아~]이고, 앞에 ㅣ 붙이면, [야~]소리를 내어라는 뜻인 뜻 합니다. 만약 이 가설이 옳다면, 신대문자의 복모음에 工을 붙여 한획을 더 넣어 복모음을 만드는 것이니 이도 계속 연구해 볼 가치가 있다고 봅..
2010.01.20 -
[ㅁ]은 처음에 ㅁ 그리고 물 water
[ㅁ]은 처음에 ㅁ 그리고 물 water 해도전의 [ㅁ]음가에 해당하는 ∀은 원래 ㅁ 모양새 였습니다. 그래서 ㅁ 위에 약간 올라온 선은 [므]라고 소리 내어라는 것이고, 아래 ㅡ 은 [ㄹ] 발음을 내어라는 것입니다. 그런 뒤 ㅁ 모양새를 물방물 모양으로 형상화 시키고, [으]음가와 [ㄹ]음가의 두 줄을 가지고 물..
2010.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