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수도 화폐문 연구(641)
-
5 . 첨수도 화폐문: 금(金)
5. 첨수도 화폐문: 금(金) 거의 확실히 금(金)으로 봅니다. "civil" 님 자료 중에 http://www.internationalscientific.org/CharacterASP/CharacterEtymology.aspx?characterInput=%E9%87%91&submitButton1=Etymology
2009.04.05 -
4. 첨수도 화폐문: 중(中)
4. 첨수도 화폐문: 중(中) 확실히 중(中)이지요. http://www.internationalscientific.org/CharacterASP/CharacterEtymology.aspx?characterInput=%E4%B8%AD&submitButton1=Etymology
2009.04.05 -
3. 첨수도 화폐문: 종(終)
3. 첨수도 화폐문: 종(終) 방향만 다를 뿐, 종(終)의 갑골문과 동일합니다. http://www.internationalscientific.org/CharacterASP/CharacterEtymology.aspx?characterInput=%E7%B5%82&submitButton1=Etymology
2009.04.05 -
2. 거의 확실한 韓
이전에 공부한 대한민국의 한, 삼한의 한, 거의 확실한 韓 글자가 첨수도 화폐문에 있습니다. 중간 원안에 점이 없는 정도의 차이점인데, 삼한의 韓 을 나타낸다 봅니다. http://www.internationalscientific.org/CharacterASP/CharacterEtymology.aspx?characterInput=%E9%9F%93&submitButton1=Etymology "civil " 님 자료 ..
2009.04.03 -
1. 옛날 고조선 상형 화폐문
1. 옛날 고조선 상형 화폐문 첨수도 위의 문자도 "civil" 님께서 잘 정리해두었습니다. 만약 이 문자가 진본이라면-사진으로 보니 진본일 듯 합니다- 정말 놀라워서 입이 다물어 지지 않습니다. 이전에 제가 주장한 내용이 거의 담겨있습니다. 1) 한자의 필법이 직선적인 필법을 가지게 된것은 고조선부여 ..
2009.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