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와 유전자학 (3520)
-
고구려의 일인들 호칭 박(狛)과 중원인들 호칭 맥(貊) 고찰
고구려의 일인들 호칭 박(狛)과 중원인들 호칭 맥(貊) 고찰 db.history.go.kr/item/level.do?sort=levelId&dir=ASC&start=1&limit=20&page=1&pre_page=1&setId=-1&totalCount=0&prevPage=0&prevLimit=&itemId=jo&types=r&synonym=off&chinessChar=on&brokerPagingInfo=&levelId=jo_007r_0010_0010_0010&position=-1 『日本書紀』에서도 고구려를 狛(고마) 또는 高麗로 표기하였다. ~~~~~~~~~~~~~~~~~~~~~~~~~~~~~~~~~~~~~~ 워낙 일국 애들은 선조들에게서 멀어진 인종이니 ,,,,어쨌거나 hanja.dict.naver.c..
2021.02.23 -
가림토의 다른 해석
ko.wikipedia.org/wiki/%EA%B0%80%EB%A6%BC%ED%86%A0 “《태백유사(太白遺史)》에는 ‘흉노의 조상에 모수람이라는 자가 있어 천신을 섬겼으며 (중략) 그 풍속이 사납고 맹렬하여 수렵을 좋아하고 흙을 굽고 밧줄을 꿰어 신표로 삼으니 이를 가림토라 하였다’ 가림토에 대해 비판적 견해를 담은 글인데, 여기서 우리는 하나의 단서를 찾을 수 있습니다. 흙을 굽는다 했으니, 도자기는 아니지만 그 와 유사한 재료를 선택했고, 신표로 삼는다, 즉 호신부적과 같은 의미이니 제가 추정한 도부호 쓰임과 같습니다. 여기서 흉노도 그 근원이 배달 동이족에 있습니다. 그래서 가림토의 일종이라 저는 해석해보는 것입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흉노 [匈奴] (실크로드 사전, 2013. 10. 31., ..
2021.02.23 -
앙소 문화의 반파 도부호와 함안 아라가야 도부호가 같은 이유
앙소 문화의 반파 도부호와 함안 아라가야 도부호가 같은 이유 이제 앙소문화의 반파 도부호와 함안 아라가야 도부호가 왜 같은지 알 수 있습니다. > 주로 산동 대문구, 용산 문화를 동이계 문화, 앙소문화를 화하계(중원족) 문화라고 보는데, 산동의 대문구와 용산문화의 동이계가 앙소문화의 반포 지역까지 진출하였고, 산동의 래이(萊夷)의 일부가 한강토(한반도) 서쪽 남부로 와서 마한 종족이 되고 이 마한에서 백제와 가야가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함안 뿐만 아니라 우리 경상도와 전라도 다른 지역에서도 도자기 부호가 발견될 가능성이 얼마든지 있는 것입니다. 실제로 양산, 김해, 부산, 창녕에서 극소수지만 도부호가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이 부호는 제 저서 고조선문자3(경진출판사)에서 자세히 다룬 바 있습니다.
2021.02.23 -
대륙 백제를 대체로 인정하는 자료 와 백제의 원류 입증
百濟亦據有遼西·晋平二郡地矣 自置百濟郡 : 百濟의 遼西經略은 近肖古王代(346~374)의 일로 보이며, 『宋書』·『梁書』등의 中國史書에 이에 대한 사실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db.history.go.kr/item/level.do?sort=levelId&dir=ASC&start=1&limit=20&page=1&pre_page=1&setId=-1&totalCount=0&prevPage=0&prevLimit=&itemId=jo&types=r&synonym=off&chinessChar=on&brokerPagingInfo=&levelId=jo_011r_0010_0030_0010&position=-1 <참조> 『宋書』百濟傳 註 4) 百濟略有遼西 百濟가 遼西地方을 占有하였다는 事實은 『宋書』·『梁書』 등의 中國史書..
2021.02.22 -
명확히 표기한 ‘동이 고구려’ 와 고구려의 원래 의미는? 천지간 최고 공부?
명확히 표기한 ‘동이 고구려’ 와 고구려의 원래 의미는? 개벽의 순간을 보여드리겠습니다. db.history.go.kr/item/level.do?sort=levelId&dir=ASC&start=1&limit=20&page=1&pre_page=1&setId=-1&totalCount=0&prevPage=0&prevLimit=&itemId=jo&types=r&synonym=off&chinessChar=on&brokerPagingInfo=&levelId=jo_007r_0010_0010_0010&position=-1 南齊書 東南夷列傳, 高[句]麗 東夷 高[句]麗國은 서쪽으로 魏 오랑캐와 경계를 접하고 있다. 보시다시피 정확히 ‘고구려’가 ‘동이’라고 했습니다. 그리고 더 놀라운 것은 제가 ‘고구려’의 려(麗)를 ..
2021.02.22 -
빙하기와 발해바다
빙하기와 발해바다 발해바다 편균 수심이 20m 라 했으니 빙하기 때 가장 먼저 북부 지역이 땅으로 변합니다. 서해를 남부와 북부로 나누어 볼 때 발해 북부가 먼저 땅이 됩니다. 그래서 산해경에서 발해를 북해라 부르게 됩니다. 주변 요하, 발해만, 산동, 한강토(한반도)에 있던 사람들이 바닷물이 물러간 땅에 내려와 살게 되면서 배달족의 터전을 마련하게 되고 차츰 제주도 한라랜드 주변도 모두 땅으로 변합니다. 가장 마지막에 대한해협 골짜기가 땅으로 변하면서 바다가 땅으로 변하는 작업이 마무리 됩니다. 만 5천년전 부터 대한해협으로 빙하가 녹은 물이 들어오기 시작해서 땅이 바다로 변하고 인류의 이주가 시작됩니다.
2021.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