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와 유전자학 (3520)
-
우리말 종성 ㅀ 이 한자음에 ㄹㆆ 나타나는 경우
(옛 한자음 고찰) 우리말 종성 ㅀ 이 한자음에 ㄹㆆ 나타나는 경우 일(一), 칠(七), 팔(八)이 ‘ᅙᅵᆶ, 치ᇙ, 밣’ 로 나타나니 우리말 종성 ㅀ 다음의 후손 언어임을 알 수 있는데 월인천강지곡에 동일 종성이 나타납니다. 16에 보살(菩薩)을 ‘뽀사ᇙ’이라 표기하여 ‘사ᇙ’에 ‘ㄹㆆ’ 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18에 기ᇙ(吉)에 ‘ㄹㆆ’ 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19에 사월팔일(四月八日)이 ‘ᄉᆞᅌᅯᇙ바ᇙᅀᅵᇙ’로 나타나니 ‘ㄹㆆ’ 이 종성으로 모여 나타납니다. 21에 발원(發願)이 ‘버ᇙ’로 ‘ㄹㆆ’ 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25에 발(鉢)을 ‘바ᇙ’로 표기하니 ‘ㄹㆆ’ 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30에 출(出)을 ‘츯’로 표기해서 우리말 ‘ㅀ’ 그개로 한자어 종성 ‘ㅀ’으로 나타납니다..
2021.02.22 -
진한 고찰 (한자어 유입 자료)
≪후한서≫에 이르기를 “진한의 늙은이들이 말하기를 ‘진에서 망명한 이들이 한국에 오니 마한이 동쪽의 땅을 떼어서 그들에게 주고 서로 부르기를 「도」라 하였고, 진나라 말과 가까운 까닭으로 진한이라고도 했다.’ 하였다. 12의 소국이 있어 각각 만호나 되었는데 나라라고 일컬었다.” 하였다. ; 後漢書云 辰韓耆老自言 秦之亡人 來適韓國 而馬韓割東界地以與之 相呼爲徒 有似秦語 故或名之爲秦韓 有十二小國 各萬戶 稱國 [삼국유사 권제1, 10장 뒤쪽, 기이 2 진한] [네이버 지식백과] 진한 [辰韓] (한국고전용어사전, 2001. 3. 30., 세종대왕기념사업회) db.history.go.kr/item/level.do?sort=levelId&dir=ASC&start=1&limit=20&page=1&pre_page=1&..
2021.02.22 -
배달족 원 거주지
terms.naver.com/entry.nhn?docId=1286043&cid=40942&categoryId=39993 그래서 배달족의 원 거주지는 산해경에서 북해(北海)라고 하는 ‘발해’입니다. 수심이 평균 20m 이니 바닷물이 조금만 물러나면 땅이 되는 곳입니다. 크게는 한라랜드이고, 좁게는 서해 북쪽 지역입니다.
2021.02.22 -
동이 중 백인(白人)에 대한 고민
동이 중 백인(白人)에 대한 고민 소호금천씨를 백제(白帝)라 하고 선우중산국은 스스로를 백인(白人)이라 하고 중원인은 백적(白狄)이라 불렀습니다. 그리고 이 백인/백이(白夷)는 구이(九夷)중 하나였습니다. 배달 겨레 중 핵심 종족이라 볼 수 있습니다. 보통 백(白)은 서쪽을 상징하니 배달족 중 서쪽 편에 거주한 겨레를 말한다라고 일반적인 해석합니다. 저는 아예 몸 색깔이 흰색이지 않나 가설을 제시하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저는 백제(百濟)의 의미가 ‘백개의 제(濟)나라’라고 알고 있었는데, 후한서 동이열전, 한(韓)에 이런 구절이 있습니다. db.history.go.kr/item/level.do?sort=levelId&dir=ASC&start=1&limit=20&page=1&pre_page=1&setId=..
2021.02.22 -
주나라 왕실과 동이족의 관계 탐색
주나라 왕실과 동이족의 관계 탐색 동이족의 영향은 주나라 왕실까지도 뻗쳤다고 하기에 중국을 말한다, 서주, 이원길 옮김, 신원, 28쪽을 찾아 보았습니다. 주나라의 시조 ‘기(棄)’에 대한 내용입니다.
2021.02.21 -
각부 석기 부호 해석
각부 석기 부호 해석 조영현님 옮김의 문명의 새벽 원시시대, 시공사, 62-63쪽 각부 석기에 새긴 부호는 후대 ‘새 을(乙)’이 된 부호로 새 토템을 가진 부족임을 표시했다고 봅니다. 아래 부호 문자는 ‘새 혹은 나무’ 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후대 갑골문 乙과 木의 원조 그ᇋ자라고 볼 수 있습니다.
2021.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