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종성 ㅀ 이 한자음에 ㄹㆆ 나타나는 경우

2021. 2. 22. 07:21언어와 유전자학

(옛 한자음 고찰)

 

우리말 종성 ㅀ 이 한자음에 ㄹㆆ 나타나는 경우

 

(), (), ()ᅙᅵᆶ, 치ᇙ, 로 나타나니 우리말 종성 ㅀ 다음의 후손 언어임을 알 수 있는데 월인천강지곡에 동일 종성이 나타납니다.

 

 

16에 보살(菩薩)뽀사ᇙ이라 표기하여 사ᇙ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18에 기ᇙ()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19에 사월팔일(四月八日)ᄉᆞᅌᅯᇙ바ᇙᅀᅵᇙ로 나타나니 ㄹㆆ이 종성으로 모여 나타납니다.

21에 발원(發願)버ᇙ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25에 발()바ᇙ로 표기하니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30에 출()로 표기해서 우리말 그개로 한자어 종성 으로 나타납니다.

33에 별()벼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35에 밀()미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39, 93에 달()따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49에 말()마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55에 설()ᄉᆑ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58에 불()부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ᅙᅳ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64에 솔()소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92에 열()녀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98에 갈()꺼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ᅙᅳ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99에 술()이라 표기해서   이  우리말처럼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이렇게 한자음이라는 것이 원래 우리말에서 나온 언어임을 종성 ‘ㅀ/ㄹㆆ을 통해 명확하게 밝혔습니다. 세계 최초로. 이는 고대 한국과 고대 중국 사서가 한국 배달(동이)족에 의해 인류 문명이 창조되었다는 사실을 언어학 적으로 입증한 자료입니다.

 

 

 

 

<< 고조선문자3, 경진출판사, 허대동, 116쪽 참조>>

 

 

 

 

<< 고조선문자3, 경진출판사, 허대동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