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마디 9초성 영단어장(521)
-
보다 고찰 , 복습
이미 오래 전에 고찰했듯이, 우리 한자음은 고대 원어의 한 분파로 그 음가를 모두 담고 있습니다. 그 중 대표 적인 것이 ‘보다’입니다. 그래서 한자어 ‘볼 보(䀯)’를 제가 찾았습니다. ㅅ은 우리말의 ‘살피다’입니다. 보통 ‘볼 시(視, 示)’와 ‘볼 견(見)’‘ 볼 간(看)’ 정도만 기본 단어로 인식을 하니, ‘볼 보’가 무엇을 언어학적으로 가지고 있는 지를 모르는 것입니다. ㄱ에는 ‘볼 관(觀)’, ‘볼 감(監)’등이 들어 있고 흔히 ‘눈 목(目)’이란 단어도 ‘볼 목(目)’으로도 사용됩니다. ㅂ 이 ㅁ 된 것입니다. 이렇게 ㅴ 이 ㅂ,ㅅ,ㄱ 초성으로 나타나 듯이 ㅵ 의 ㄷ의 ‘볼 도(睹, 覩)’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그 외 다양한 초성 형태로 ‘보다’가 담겨있습니다. 여기서 ㅂ 은 영어에서 vie..
2021.06.03 -
ㅄㄷ=부수다, 그대로 bust
https://en.dict.naver.com/#/entry/enko/9c9485c52f9e4ec8b2ce1889e5d2979f ㅄㄷ=부수다, 그대로 bust 가장 빈도 높은 break 가 있지만, 우리말 ㅄ이 그대로 영어에 bus-, 다 부분은 t 로 나타납니다. 모음 부분만 약간 달라졌고, 그냥 우리말이라 해도 됩니다. 부수다=버스트 bust
2021.06.03 -
infringe 재고찰
https://blog.daum.net/daesabu/18325522 infringe 재고찰 위반하다, 한자어와 우리말을 통해 의미 접근을 했습니다. https://dict.naver.com/lakodict/#/entry/lako/f8e2ae6f22fe474f9be3edf5aeea98e1 라틴어 infringo[인프린고]를 살펴보면, 부수다, 때리다가 있습니다. 즉 규칙을 부수니, 위반하다, 침해하다 가 되는 것입니다. 규칙을 in + 부수다 fringo =infringo 혹은 (법적 권한을) 제한하다 로도 사용됩니다. https://blog.daum.net/daesabu/18322631 '부수다' 관련 단어 복습 그래서 한자어 '범(犯)'은 우리말 '부수다'의 ㅂ 인 것입니다.
2021.06.03 -
기록하다=record
기록하다=record 다시 re + 글쓰다/기록하다 cord =record https://dict.naver.com/lakodict/#/entry/lako/0e058da413914caa87c2c9d9a9c532e3 라틴어 참조 recordo[레코르도] 이 단어가 중요한 이유는 다시 에서 re 가 나오고 글의 고어 '긇'에서 cord 가 나오는 것을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긇 corh-->cord 게다가 라틴어에 가면, 우리말 -다 에 해당하는 -do 가 -cord 다음 나온 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참고로 혼동스러울 수 있는 것이 cord 는 우리말 '끈'이고 암호, 부호의 글의 ㄱ 은 code 입니다.
2021.06.03 -
guide=끌고 가다, 끌어 당기다
guide=끌고 가다 앞으로 끌고 가다 , 끌다의 ㄱ의 guide 이고, lead 는 끌다의 ㅀ 의 lead입니다. https://ko.dict.naver.com/#/entry/koko/b0b37525be4f4b6e9613319d9c8f5cfb ‘끌다’ 옛말은 'ᅘᅧ다'‘그ᅀᅳ다’‘ᄭᅳᆯ다’ 이니 ㆅ 이 ㅺ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ㅼ 되면 ㄷ 의 ‘당기다’, 후대에 합쳐 ‘끌어 당기다’가 됩니다. 그래서 ㄷ 의 draw, drag 이 나오고 ㅎ 의 haul 이 나오게 됩니다. 그래서 draw, drag 에는 r 로 나타나고, lead 에서는 l 로 나타나는 차이점만 있는 것이니 lead 도 원래는 'glead/dlead' 라고 추정 할 수 있습니다. https://ko.dict.naver.com..
2021.06.02 -
다리 leg 고찰 (복습)
'다리' 의 옛말은 '닳'이고 '다리' '달리다''뛰다'가 됩니다. 그래서 우리말 '다리'의 '리' 부분이 leg 임을 알 수 있습니다. '다리'는 원래 '다맇'에서 ㅎ 탈락이니, '맇' 에서 '렉 leg'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021.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