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국어·훈민정음 단어 변음 법칙 (132)
-
12. 환국어 불
12. 환국어 불 우리말은 '물' 과 '불'로 상대 되면서 근원적인 언어임을 누구나 알 수 있습니다. 불은 한자어에 어떻게 나타나는 지 보겠습니다. 불사를 분: http://hanja.naver.com/hanja?q=%E7%84%9A 불사를 분: http://hanja.naver.com/hanja?q=%E7%87%8C 분 음가가 돌려진 '번'입니다. 불사를 번: http://hanja.naver.com/..
2017.02.07 -
11. 환국어 예쁠 압
11. 환국어 예쁠 압 예쁠 압 http://hanja.naver.com/hanja?q=%E5%A7%B6 어엿브다, 아름답다=축음 시켜 '압' 여기서 음가의 합(合)이 '압'으로 변하는데, 우리말 '아름답다'와 '어엿브다'가 기준이 된 것입니다. 또 다른 예쁠 압 http://hanja.naver.com/hanja?q=%E3%9B%95 마찬가지로 읍(邑)인데, 우리말 '아름답다' 와..
2017.02.07 -
10. 환국어 예쁠 변, 예쁠 편
10. 환국어 예쁠 변, 예쁠 편 http://hanja.naver.com/hanja?q=%E3%9B%B9 이 단어도 지금까지 공부를 확인해 줍니다. 옛말은 '어엿브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27472700 ㅂ,ㅃ,ㅍ 어엿브다의 브 예쁘다의 쁘에서 변음 변과 편 그러면 어엿브다의 '어엿'은 무엇일까요? 예쁠 요 http://hanja.naver.com/hanja?q..
2017.02.07 -
9. 환국어 날개를 펼 피
9. 환국어 날개를 펼 피 지금까지 공부로 우리말 초성과 한자어 초성이 완전히 대응된다는 것을 입증했습니다. 그러면서 수 많은 극적 단어들이 쏟아져 나왔다는 것을 확인하셨습니다. 이 단어도 그러합니다. http://hanja.naver.com/hanja?q=%E7%BF%8D 날개를 펴다, 펴의 변음 피 우리말 그대로 한자..
2017.02.07 -
8. 고물의 정체를 알다.
8. 고물의 정체를 알 수 있습니다. 고물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2696300 배의 뒷 부분을 말하는 우리 고유어입니다. 이것은 '끄트미' '끄트머리' '꽁무니' 라는 것입니다. 끝=고 머리, 미=물 우리말 안에서도 변음 되어 사물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나타내기도 합니다. 다음 최고 난이도 ' ..
2017.02.06 -
7. 환국어 초성 ㅁ 의 법칙
7. 환국어 초성 ㅁ 의 법칙 앞에서 소와 새를 통해 우리말과 한자어의 대응을 살펴 보았습니다. 이 번에는 우리말 '물'의 고어 '믈'을 가지고 살펴 보겠습니다. 참고로 일어는 '미즈' 입니다. 우리말 '므'가 '미' , 받침 ㄹ이 '즈'로 나게 된 것입니다. 먼저 '물'이 변음 되어 '미'로 되는데, 물..
2017.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