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국대동세계어사전(474)
-
이제 작다의 혁다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제 작다의 혁다? 지금까지 공부로 작다의 용비어천가 '혁다', 석보상절 '횩다' 의 정체를 알 수 있습니다. 우리말 ㅎ 은 다양한 음가로 변하니, 혁다에서 적다로 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햑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42069200&directAnchor=s426657p272990d318014
2017.07.19 -
적다?
적다? 옛말은 '젹다' 입니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2732400&re=y 둏다/좋다<----->싫다 많다<------> ( ) 졓다 였는데, ㅎ이 ㄱ 으로 변하여 '젹다' 가 된 것입니다. ㄷ 에서 ㅈ 으로 가니 뎧다 일 수도 있습니다.
2017.07.19 -
블 밝다, 믈 맑다
블 밝다, 믈 맑다 블의 더 고어는 븛, 믈의 더 고어는 믏 이라 주장했습니다. 보충 증거자료로서 '밝다'와 '맑다'가 있습니다. 원래는 '븛이 븛다' 였고, '믏이 믏다' 였습니다. 형용사에서 점차 ㅎ이 ㄱ 으로, 그리고 명사에서 ㅎ 이 탈락 된 것입니다. 그래서 '븛다..
2017.07.19 -
도랑을 통한 가람(강) 고찰
도랑을 통한 가람(강) 고찰 앞에서 가람, 구름, 바람, 사람 의 '름' '람'은 종성 ㅀ 의 변음이라고 했습니다. 여기서 그 증거를 찾아 볼 수 있습니다. 먼저 도랑은 작은 내, 가람은 큰 내 입니다. 도랑의 옛말은 '돌' 혹은 '돓' 입니다. 종성 ㅀ 이 늘어져 '랑' 이 되었다는 것을 잘 알 수 있..
2017.07.19 -
정원의 뜰과 들판의 들 고 찰
정원의 뜰과 들판의 들 고찰 두 개의 유사 단어에도 ㅎ 이 붙어 있습니다. 먼저 확인을 하겠습니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8979100&directAnchor=s192767p492374d571543 ㅂ듫 , 보시다 시피 초성은 ㅂㄷ 이고, 종성에 ㅀ 입니다. 다음 '들'입니다. 옛말은 '드릏' 입니다. http://krdic.naver.com/d..
2017.07.18 -
빛 공부
빛 공부 지금까지 공부로 빛의 고어는 빟, 다시 모음도 구분이 불분명햇을 시 '븧' 까지 올라 갈 수 있습니다. 영어 빔 beam 을 고려 해보면 '빟/븧'이 고어이고, 사람이 만든 빛이니 '블' 이라 했을 것입니다. 블 과 빛을 통해 보건데 최고 고어는 처음 짐작한데로 '븛'이었..
2017.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