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국대동세계어사전(474)
-
가히, 올히를 통해서 달기와 소에 고찰
가히, 올히를 통해서 닭의 달기 고찰 이제 우리가 처음 알았거나 만든 모든 물건에 ㅎ, 히를 붙이는 습관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소나 돼지의 경우는 앞에서 붙이는 현대 언습과 같습니다. 한우, 한돈 자 이제 닭을 왜 달기라고 하는지 아실 것이고, 달기 앞의 음가는 '닳/달히'였습..
2017.07.20 -
돌과 바위
돌과 바위 현 우리말로는 ㅎ 의 흔적을 찾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돌의 옛말은 '돓'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0151300&directAnchor=s103171p65923d132958 바위의 옛말은 '바회'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5238000 분명히 '종성 ㅎ' 과 '회' 가 존재합니다. 게다가 방언 '돍' 을 보면 분명 우..
2017.07.20 -
낮 고찰
낮 고찰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6715500&directAnchor=s70008p453212d527050 '나조' 가 옛말로 나옵니다. 현 우리말은 '나조'의 줄임말 '낮' 입니다. 나조는 늘인 표현, 줄인 표현은 낮 입니다. 이도 최고 고어는 '낳' 이라 추정할 수 있습니다. ㅎ 이 ㅅ,ㅈ,ㅊ 중 ㅈ 으로 변한 경우입니다. 그래서 '..
2017.07.20 -
풀 초, 풀 훼
풀 초(草), 풀 훼(卉) 우리가 익히 잘 아는 것은 '풀 초' 입니다. ㅍ 에서 ㅊ 으로 가는 경우입니다. 그런데 ㅎ은 ㅍ, ㅍ 과 ㅎ 은 가장 기본 적인 변음 관계입니다. 풀의 ㅍ 의 변음 '훼' 입니다. 그런다음 '훼'를 둘러 보면 다 이해할 수 있습니다. 헐 훼(毁) (새)부리 훼(喙) 벌레 훼(虫) 불 ..
2017.07.19 -
끌다의 ㅎ혀다 고찰
끌다의 ㅎ혀다 고찰 ㅎ혀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44056500&directAnchor=s510714p283781d329113 보시다시피 끌다의 옛말은 'ㅎ혀다' 입니다. ㅎㅎ 이 ㄲ 으로 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고어는 'ㅎ혈/ㅎ혏' 이었다고 봅니다. 그러면 한자 '끌 견(牽)'은 어떤 경우인가? 우리말도 ㅎㅎ-->..
2017.07.19 -
낚시 고찰
낚시 고찰 이제 낚시를 고찰해 보겠습니다. 옛말은 '낛' 입니다. 방언으로 '낚수' 가 있습니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6789200&directAnchor=s73055p292714d343010 여기서 종성 ㄲ, ㄳ 은 ㅎㅎ 의 변음이라고 봅니다. ㅎㅎ 은 초성에도 나타나는 데 훈민정음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2017.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