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국대동세계어사전(474)
-
두더지, 두디쥐?
두더지 고찰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0529100&directAnchor=s108067p69068d134168 옛말은 '두디쥐' 입니다. 현 우리말과 비교하면 디와 더, 쥐와 지, 변음입니다. 이런 변화야 기본적인 변화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017.07.21 -
나무 고찰
나무 고찰 나무를 통해서 종성 ㅎ,ㅇ,ㅁ 의 제 학설을 증명할 수 있습니다. 제주 방언은 '낭' 입니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7061400&directAnchor=s484489p47578d114195 즉 첫 원어는 '낳' 이었다고 봅니다. 육지로 오면서 낭의 ㅎ 부분이 풀어져서 '낭구' 가 되었습니다. http://krdic.naver.com/detail.nh..
2017.07.21 -
두꺼비 고찰
두꺼비 고찰 두꺼비에도 중요 단서가 들어 있습니다. 원 우리말은 '두텁' '두터비' 였습니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0614100 물론 훈민정음에 나오기도 합니다. 조선시대말과 현 언어를 비교하면 ㅌ 에서 ㄲ 으로 바뀌었습니다. 이런 사실로 보아 ㄷ ---> ㄱ 으로 가는 경로는 확실..
2017.07.21 -
늙다와 젊다 고찰
늙다와 젊다 고찰 늙다의 ㄺ도 원래는 ㅀ 이라 봅니다. 늟다--->늙다 , 한자어 노(老) 젊다는 역시 고어로 돌아간 형태입니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3387300 원래 옛말은 '졈다' 입니다. ㄹ이 다시 살아나 '젊다'가 되었습니다. 젊을 좌(㛗) http://hanja.naver.com/hanja?q=%E3%9B%97 늙..
2017.07.21 -
잫 고찰?
잫 고찰? 자를 한번 더 고찰해 보겠습니다. 자의 원 표기는 '잫' 입니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1466500&directAnchor=s312830p200099d20902 위 사전에 보시면 한자어 尺에서 온 '잫' 으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주로 ㅈ에서 ㅊ 으로 음가 진행이 일어납니다. 우리말 잫에서 잫--&..
2017.07.21 -
잎 고찰?
잎 고찰? 잎의 옛말은 '닢'입니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8285100&directAnchor=s84902p325999d380862 더 고어는 '닣' 이었다고 봅니다. 닣--->닢--->잎 한자어 닣-->녑--->엽(葉)
2017.07.21